d라이브러리
"중량"(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과학동아 l1996년 04호
- 맨 아래에 위치한 이후에도 다음 행정으로 가는 것을 도와주고 있다. 플라이 휠의 지름과 중량을 크게 하면 보다 많은 관성력을 얻을 수 있으나 엔진의 반응이 둔해지는 단점도 있다.배기량을 Vcc, 행정을 Lcm, 보어(bore, 원형 피스톤의 지름)를 Dcm, 실린더수를 Z라고 하면 V= 3.14 Z(D²/4)L이란 공식이 ... ...
- 전륜과 후륜의 차이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차에 짐을 많이 실을 경우 트렁크에 넣는 것보다는 차의 가운데 부분에 싣는 것이 차의 중량배분에 훨씬 좋은 방법이다.겨울보다 힘든 봄철 운전 요령기나긴 겨울이 끝나고 포근해지는 3월이면 추위에 잔뜩 긴장했던 만물이 느슨해지기 마련이다. 운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새봄이야말로 ... ...
- 적외선에 미지 우주비밀 숨어있다과학동아 l1996년 02호
- 거의 없어야 한다.그 때문에 전체 길이 5.4m인 ISO 내부에는 2천L의 액체 헬륨이 들어있다. 중량은 2.5t으로 ISO의 대부분은 이 액체 헬륨과 그것을 담는 일종의 마법병이 차지하고 있다.이 액체헬륨이 하는 일은 반사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절대온도 4도로 냉각해 적외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ISO의 ...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있으나, 지난 1979년10월 한국과 미국이 교환한 미사일각서에는 사거리 1백80㎞ 탄두 중량 5백㎏으로 제한하고 있다. 북한이 스커드, 노동1·2호, 대포동 1호 등 사정거리가 1천5백㎞에 달하는 강력한 미사일을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01 각서는 자체 개발은 물론 제3국을 통한 부품 구입마저도 ... ...
- 3.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과학동아 l1995년 12호
- 개발되고 있다. 과학실험 통신실험, 그리고 한반도 관측을 위해 개발하는 아리랑 호는 중량 3백50-5백㎏, 고도 4백-8백㎞의 저궤도용 위성이다.아리랑1호는 크게 위성 본체(spacecraft)와 탑재체(payload)로 나눠진다. (그림1)은 임무궤도에서 태양전지판이 펼쳐진 상태의 아리랑1호다. 위성본체는 ... ...
- 2. 로봇의사가 몸속 누비며 진찰과학동아 l1995년 10호
- 다리는 개미의 다리보다 몸체에 비해 더욱 두껍다. 왜 그럴까. 다리의 역할이 몸체의 중량을 지탱하는 것이라는데 생각이 미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체중 이상의 힘이 다리에 가해지면 다리가 파괴된다고 가정하자. 다리의 허용압축하중은 다리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개미와 동일한 ... ...
- '한국항공우주국'설립 시급하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당연히 국제위성으로 제작되어야 한다.위성전문가들에 따르면 차세대위성은 위성체의 중량에 제한이 없어진다. 전력도 증가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를 위한 탑재물도 늘어난다. 현재 무궁화 1, 2호에는 중계기 15개(방송용 3개, 통신용 12개)가 실려 있으나 차세대위성은 이 수가 대폭 늘어날 ...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전라북도 무주를 향하도록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가 내부에 탑재돼 있다.이 위성의 발사중량은 약 1.5t으로, 위성 안에는 통신용중계기가 12개, 방송용중계기가 3개 포함돼 있다. 무궁화호를 적도 상공 3만6천㎞ 정지궤도에 발사하기 위해 미국 맥도널더글러스사에서 제작한 델타2 로켓을 이용한다. 이 ... ...
- 가상현실기술 과대포장돼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가장 큰 글자도 보지 못하는 상태.스크린의 해상도는 급속히 좋아질 수 있지만 헬멧의 중량 감소는 쉽게 해결될 수 없다. 헬멧이 1㎏을 넘어간다면 머리를 움직이기 어렵고 멀미가 일어난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기면(嗜眠)증후군이다. 아주 짧은 시간만 VR 세계를 체험해도 만성적인 피로감, 적극성 ... ...
- 5 6각기둥 벌집은 자연최고의 건축물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놓고 볼 때 가장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구조. 이 집 안에 꿀을 저장한다고 할 때 자체 중량의 30배 가까이 저장할 수 있다. 6각형의 방은 위로 9-14도 정도 치켜올려져 있어 꿀이 바깥으로 전혀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제트기 및 인공위성의 벽에 응용돼 '하니컴'(honneycomb) 구조라고 불린다.꿀벌은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