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유연한 주름이 있어 곡선도로를 휘어져 달릴 때에도 뒷차가 튕겨나가지 않는다. 버스의
앞뒤
뿐 아니라 중간에도 출입구가 있어 승객이 오르내리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책상과 의자 나타나는 ‘트랜스포머’ 가방잠자코 있던 라디오와 자동차가 벌떡 일어나 스스로 접히기 시작한다.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기술을 만드는 법을 잠깐 살펴볼까요. 먼저 평평한 로봇의 발 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앞뒤
, 좌우 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을 설치합니다. 카메라 삼각대에붙는 ‘팬·틸트 헤드’와 비슷해서 어떤 방향으로든 움직일수 있습니다. 그 위는 로봇의 다리와 연결되겠지요. 그 다음 각종 센서를 ... ...
무한도전 극한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한참을 걸어가고 있는데 이번에는 갑자기 안개가 몰려와 아무 것도 안 보이게 됐어요.
앞뒤
와 좌우 모두 구분이 안 되고 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 수가 없어요. 말로만 듣던 백시 현상을 직접 경험하게 되다니! 목표 지점을 알고 있어서 곧바로 걸어간다고 하더라도 원을 그리며 돌아오는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양 옆,이렇게 네 면에 지붕이 있다.맞배지붕가장 간단한 형태의 지붕. 용마루에서 건물
앞뒤
로만 지붕면이 펼쳐져 있고 양 옆에는 없다. 단정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종묘와 같은 조선시대 유학 건물과 절의 강당 건물에 쓰였다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다운 포스를 만드는 윙은 1970년대 중반 로터스(Lotus) 78부터 나왔다. 본격적으로 머신의
앞뒤
에 큰 날개를 넣어 ‘다운 포스’ 역할을 극대화했다. 비행기 날개를 뒤집어 놓은 모습의 날개는 지면을 누르는 ‘다운 포스’를 일으켜 초고속으로 달리거나 특히 곡선 도로를 고속으로 빠져나오는데 가장 ...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광활한 숲이 펼쳐져 있다. 사람들이 움직일 때마다 흔들리는 다리도 재미있지만,
앞뒤
로 보이는 ‘숲 거인’과 발 아래로 보이는 광대한 계곡이 더욱 아찔하게 만든다.더 높은 곳에서, 더 광활한 숲을 보고 싶다면 다리가 아닌 곤돌라를 타면 된다. 숲의 정령들이 잠시 쉬었다 가는 피츠시먼스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을 받을 수 있는 작은 구멍을 뚫는다. 속 상자에는 상이 맺히도록 기름종이를 놓고
앞뒤
로 이동해 초점을 맞춘다.학교에서 바늘구멍 사진기를 만들면 기름종이에 상이 맺히는 것을 보고 “이게 무슨 사진기야”라고 말하는 학생이 많다. 실제로 바늘구멍 사진기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최초의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감사하다’는 필자의 진심을, ‘왜 참석하지 못했느냐’는 비난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앞뒤
말을 자르고 얘기를 꺼낸 필자의 실수도 있지만 사람들이 칭찬보다 비난이나 비판의 내색(실제로 그런 것도 아니었지만)에 얼마나 예민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됐다.‘마음먹기’의 힘 사회적 존재로서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타고난 유연성을 바탕으로 최적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그의 투구 동작을 보면 머리가
앞뒤
로 쏠리지 않고 무게중심의 축을 따라 나오며 이를 지탱하는 하체가 잘 발달돼 있다.이는 SK 와이번스의 김광현 투수와 비교하면 더 잘 알 수 있다. 양상문 코치는 “김광현 투수는 머리가 오른쪽으로 약간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오른손을 올리고 있는데 마주 보고 있어 이런 착각을 하는 것이다. 사실은 좌우가 아니라
앞뒤
대칭이다. 거울에 여러 가지 물체를 비춰 보면서 거울의 원리를 살펴보자. 아하! 생각이 쑥쑥! 거울로 보는 미술작품이 있다! 없다? 한스 홀바인 2세의 1532년 작품 ‘대사들’을 보면 두 명의 남자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