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사상
이데올로기
세계관
ideoiogi
관념형태
사상경향
d라이브러리
"
사고방식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탐방 5]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영재들만의 학회를 열어라!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보통 과학영재교육원의 ‘사사과정’에서는 학생이 쓴 논문을 교수가 평가하고 점수를 매긴다.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도 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평가방식을 물었더니 교수는 평가자가 아니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럼 도대체 누가 평가한다는 걸까? 학생들이 어려서 교수 앞에 서면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드드드득~’.핸들이 돌아가더니 ‘에트리카(Etri-Car)’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에 덩그러니 혼자 남겨졌다. 시속 15km, 에트리카가 천천히 움직인다. 하지만 체감은 고속 질주다. 전방에 사람이 보일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아침에 집을 나와 저녁에 집에 들어갈 때까지 우리의 모든 행동은 법의 규율을 받는다. 가솔린 자동차의 탄생 이후 자동차는 현대인의 일부가 됐다. 자가용을 이용한 출근길, 버스를 타고 정류장에 내리는 등 자동차와 함께하는 삶 역시 법의 규율 아래 놓여 있다. 자동차는 이제 전기, 수소 등 새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계공학전공을 한국 창의공학의 중심으로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는 기계공학전공과 항공우주공학전공을 합쳐서 하나의 학부로 운영하고 있지만, 신입생은 전공별로 각각 모집한다. 현재 기계공학전공주임을 맡고 있는 박종우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초에 충실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편집자주 - 과학동아는 DBR(Dong-A Business Review)이 발행하는 기사 가운데 하나를 엄선해 독자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과학동아에서 만나는 새로운 경제·경영 기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rticle at a Glance]대형 기획사 출신이 아닌 아이돌 그룹 BTS는 데뷔 후 불과 4년 만에 한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광물자원 개발] “지질탐사 사업에 전환을 일으켜 사회주의경제강국 건설을 다그치자.” 2016년 9월 25일 개최된 ‘북한 전국지질탐사 부문 일군 열성자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한이 전달됐다. 이 서한에는 북한의 지하자원 탐사가 재래식 탐사 방법만 적용해 효율성이 낮은 만큼 현대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올해 3월 18일 오후 10시(현지 시간) 미국 차량 공유 업체 우버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보행자 사망 사고를 낸 데 이어, 5일 만에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모델 X’가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던 중 고속도로에서 사망 사고를 내면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 편집자주2018년은 국제단위계의 7개 기본단위 중 4개가 다시 태어나는 중요한 해입니다. 올해 11월 개최되는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이들 4개 상수가 더욱 정확하고 엄밀한 숫자로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과학동아는 독자들에게 이 의미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공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68cm 키에 검은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핑크색 드레스를 차려입은 여성이 무대에 등장했다. 무대 중앙까지 이동한 그는 음악이 흘러나오자 노래하기 시작했다.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오는 ‘밤의 여왕’이다. 성악가 조수미 씨가 불러서 유명해진 그 곡이다. 완벽한 로봇 디바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사춘기에 드러나는 성 관념은 이제껏 자라면서 경험한 세상에 영향을 받는다.양육 환경에서 부모를 통해 배운 가치관은 또래문화가 강해지는 사춘기에도 쉽게 바뀌지 않는다" 독 사과를 먹고 쓰러진 백설 공주는 왕자님의 키스로 눈을 뜬다. 어쩌면 왕자님의 키스로 성(性)에 눈을 떴을지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