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전자와 정공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떨어뜨려 놓는 게 중요하다. 반면 LED는
반도체
에 전기를 흘려준 뒤 빛을 얻는다. 전자가 들뜬 상태일 때 전기를 흘려주면 전자가 정공과 만나면서 빛을 내뿜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자와 정공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끌어당기는 힘(인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데 활용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개발됐다. 노준석 POSTECH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연구에 쓰이는 실리콘을 가시광선 파장인 400~700nm보다 짧은 50~150n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해 메타물질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평면렌즈 표면에 배열해서 가로세로 1mm인 정사각형 모양의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고감도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양자점은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물질로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일반 형광염료보다 1000배 더 밝은 것도 장점이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 종류의 바이오마커를 다양한 색의 형광으로 한 번에 진단하는 센서를 만들 수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반드시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반도체
회로 자체의 주파수 특성 등을 이용해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 설계 기술을 활발히 연구 중이다. 연구팀은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1.2V의 전압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회로의 주파수 특성은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
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 후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지금 중국은 상하이에서 학회를 참석했던 그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진보를 이뤘다.
반도체
를 제외한 상당수의 첨단 기술은 한국과 동일한 수준이거나 더 앞선다. 시장이 광대한데다 중국 정부가 새로운 산업을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겐 중국이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달라지는지를 나타낸 그래프다. 산업마다 학습곡선의 모습은 제각각이지만, 비행기나
반도체
처럼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산업일수록 생산성의 향상 속도가 가파른 편이다. 학습곡선의 위력을 보여준 가장 극적인 예가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 일명 ‘트라이스타’ 여객기다. 1968년 첫 비행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문제가 생겼다.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주입 하기도 쉽지 않았다. 신 연구원은
반도체
물질 대신 유리 기판에 정교하게 패턴을 새기는 공정 기술을 개발해 세포가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있도록 ‘세포 정밀 패터닝 장치(Guide ... ...
[과학뉴스]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전하 이동도 빨라진 셈이다. 김 교수는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doi:10.1103/PhysRevLett.119.22680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있어요. 뉴로모픽 칩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
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바람을 감지하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