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05
항공사에 많은 졸업생들이 근무하고 있다.또한 ROTC를 지원하지 않은 학생들은 육군 및
해군
에 지원하여 장교로 임관, 조종사로 근무한 다음 공군에서 전역한 졸업생들과 같은 길을 가게 된다.한편 지난 1989년부터 조종사 양성이 절실해짐에 따라 군필자 재학생 중에서 우수한 학생을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05
수치가 아닌 움직이는 그래프로서 보여주었다. 비록 조잡한 화면이었지만 시범을 지켜본
해군
의 고위간부는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 또한 그 시범은 2차대전동안 방공망의 개선에 골몰했던 군관계자들의 눈을 번쩍 뜨이게 만들었다. 세계대전의 결과 이전보다 엄청나게 빨라진 미사일과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03
건져졌지만 배를 물밖으로 끄집어내는 작업은 1981년에 시작해 1984년에 완료됐다.
해군
에서 차출된 전문잠수부들이 이 인양작업에 투입됐는데 시야거리가 제로인 칠흙같은 평균수심 20m의 뻘밭에서 15°정도 기울어 있는 배를 건져내는 일이 결코 용이할 수 없었다. 동서남북이 전혀 구별되지 않는 것은 ... ...
남극
과학동아
l
199202
거의 동시에 남극대륙에 도달, 처음으로 남극대륙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어서 1840년 미
해군
의 윌크스는 호주를 출발한 뒤 남극해안을 따라 2천4백㎞를 항해함으로써 남극이 빙하로 덮인 무수한 섬들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거대한 대륙이라는 것을 증명했다.노르웨이의 과학자 보르흐그레빙크는 189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01
이 막내행성이 너무 적다는 사실을 깨달았다.행성X에 대한 가장 공신력 높은 보고는 미국
해군
관측소의 봅 해링튼이 제출한 것이었다. 그는 이 가설상의 행성이 궤도상에 있다면 천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컴퓨터모의실험(simulation)을통해 밝혀냈다. 당시 그는 이 행성의 위치가 궁수자리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12
작은 소음도 멀리 전달되기 때문에 잠수함은 '미끄러지듯'이동해야 한다. 몇년전 미국
해군
에서 적성국의 잠수함추적이 어려워져 조사한 결과, 일본의 한 회사가 정밀프로펠러가공기를 판매한 것으로 판명되어 국제적인 관심거리가 된 적이 있다. 속도면에서는 과학탐사용이 시속 2~3노트에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12
화학냉매 대신 소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캘리포니아 몬테레이(Monterey)에 있는
해군
대학원의 물리학자 톰 호플러는 우주공간에서 사용할 새로운 냉각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열기관을 연구해 왔다. 그에 따르면 "20세기가 된 이래로 가스를 순환시키는 열 기관이 아닌 새로운 방법이 모색된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살아있는 금속'등으로 불리는 이 합금이 발견된 것은 그리 오랜 일이 아니다. 1963년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티탄(Ti)과 니켈(Ni)을 적당히 배합한 합금으로 굽힘강도시험을 하던 중 담배불 앞에서 휘어진 금속이 원모습으로 복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계기로 니켈-티탄 형상기억합금이 개발됐다. ... ...
지구궤도에는 원자력위성사용 금지해야
과학동아
l
199109
흩어졌기 때문에 이 동위원소의 존재량이 순식간에 3배 올라갔다.소련은 1970년 이후 미국
해군
을 감시하기 위한 해양정찰위성에 소형원자로(2kW)를 탑재했다. 이 원자로는 수개월간 활동 후 수명이 다해 약 9백50km의 폐기물처분 고도에 자동적으로 올려졌다. 소련측의 설명에 따르면 수 백년 간은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09
주관식 5문항, 3시간 반)에서 최종선발된다. 이렇게 선발된 대표학생들은
해군
사관학교에서 3주간 특수훈련을 받은 다음 IMO에 출전한다고 한다.IMO 시험문제는 대회에 참가한 각국에서 제출한 문제중에서 뽑게 되는데 문제로 채택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최국(스웨덴) 위원회에서 1차로 3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