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04
보여준 지역들을 정밀 탐사하고 있다.◆탐해2호 석유탐사 본격화◆지난 3월 5일 인천
해군
본부에서는 한국자원연구소의 탐해2호(2천85t)의 취항식이 열렸다. 탐해2호는 첨단 3차원 탄성파 탐사장비를 갖춘 물리탐사선으로 해저지질 연구는 물론 해저자원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탄성파 탐사란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2
미로의 세계에 한발 들어서보자.괴물과의 지혜로운 결투크레타 크노스스궁막강한
해군
을 이끌고 지중해를 누비며 고대문명을 꽃피운 섬나라 크레타. 그 한 복판에서 발견된 크노소스궁 지하에 미로가 만들어졌다는 그리스 신화가 있다.미노스왕의 부인 파시페아가 머리는 소, 몸은 사람인 우두인신 ... ...
적외선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199701
적당한 빛이었겠지만) 눈에 심한 타격을 입게 된다. 야시경의 원리를 잘 알고 있었던
해군
사관학교 교수인 잭 라이언다운 행동이라 할 수 있다.우리는 여기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눈의 부족함을 메우는 과학기술의 다른 면을 본다. 앞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자를 위해 과학은 그들의 눈을 대신해 ... ...
잠수함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11
발사할 수 있다. 현재 6척이 운용중에 있다.한편 최신의 잠수함으로는 1996년 8월에 미
해군
에 인도된 ‘바다의 늑대’(Sea Wolf)를 꼽을 만하다. 원자력 공격용 잠수함(SSN)으로서,빨라진 속력(35노트), 잠항심도의 증가(6백10m)와 함께 특히 소음 수준이 혁신적으로 낮아졌다. 또 음파를 흡수하는 피복이 ... ...
2. 남자기죽이는 사이버여걸들
과학동아
l
199611
정년은 62세이지만, 매년 국회의 추인을 받아 정년을 연장했던 것이다. 이 덕에 미국
해군
역사상 최장기 근속자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미국 정부는 그가 세상을 뜨기 1년 전 기술분야 국가메달을 수여했다 ... ...
심해유물 어떻게 찾나
과학동아
l
199610
관측자가 탈 수 있는 4천5백m급 유인잠수정으로, 1964년 해양학자 앨린 빈(Allyn Vine)이
해군
에 건의해서 만들기 시작해 1974년에서야 완성했다.발라드박사가 타이태닉호를 발견할 당시 타이태닉호을 먼저 본 것은 아르고였다. 아르고는 6천m까지 잠수할 수 있는 예항형 무인탐사로봇으로 카메라와 ... ...
3. 자유로운 공간이동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09
있다.레인보 프로젝트 - 전자기망 덮자 사라진 군함 1943년 7월 20일 미국 필라델피아의
해군
기지에서 전자기장을 이용해 레이더망을 피하는 실험이 진행됐다. 전자기장을 이용해 군함 주변에 특수한 전자기망을 형성시킴으로써 레이더 신호를 혼란시킨다는 계획이었다.그런데 전자기장을 군함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04
발전됐다. 근대적 컴퓨터가 아날로그 형식에서 디지털 형식으로 바뀌는데는 1945년 미국
해군
이 추진하던 모의실험 비행장치 개발계획인 '선풍계획'(Project Whirlwind)이 디지털 방식을 채택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애초에 이 계획은 부시의 미분해석기를 응용한 아날로그 컴퓨터를 활용해서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03
찍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 CURV와 아르고라는 무인탐사로봇의 도움 때문이었다. 1973년 미
해군
이 만든 무인탐사로봇 CURV-III는 아일랜드 근처 수심 4백20m에 침몰한 유인잠수정 PISCES-III에서 2명의 승무원을 구출해내기도 했다. 무인탐사로봇들은 1986년 불운하게 폭발하고 말았던 우주비행선 챌린저를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07
천체가 잡혔다. 태양을 제외한 최초의 X선원은 Sco X-1(전갈자리 소속). 1963년 미국
해군
연구소의 프리드만 박사팀도 이 사실을 확인했으며, 게성운 방향에서 강한 X선이 방출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X선천문학'이라는 새로운 스타 탄생을 예고했다.그러나 60년대의 과학로켓은 고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