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측
어림
추리
예측
억측
어림짐작
대중
d라이브러리
"
짐작
"(으)로 총 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왕눈이’ 동물들의 특별한 취미
과학동아
l
201003
지능이 낮고 몸이 왜소한 원원류(원시원숭이류)에 속한다. 까만 안경처럼 보이는 눈으로
짐작
할 수 있듯이 안경원숭이와 여우원숭이의 사촌뻘이다. 로리스는 나무에 매달리면 몸을 앞뒤로 흔들기 때문에 네덜란드어로 ‘광대(loris)’란 이름이 붙었다.원숭이는 대개 긴 팔로 매달려 이 나무에서 저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02
한파가 일부 국지적인 기단이나 지형의 영향을 넘어선 더 큰 메커니즘 아래 일어났음을
짐작
케 하는 대목이다.기상학자들과 기후학자들은 북극을 주목했다. 북위 40~50° 지역의 20km 상공에는 빠르고 강한 편서풍이 흐른다. 이름은 북극제트기류. 일종의 벨트처럼 지구의 어깨 부분을 감싸고 돌기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02
내려와 산란을 하는 이유는 이곳의 수온이 산란에 적합한 6~7℃ 정도이기 때문으로
짐작
된다.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 낚시꾼들 중에는 서해에서 대구 낚시를 즐긴다는 이들이 적지 않다. 사실 서해에도 부분적으로 발달한 냉수대에 대구가 서식하는데, 이 서해대구는 동해산 대구와는 다른 계군에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01
”사람이 교각에 있는 눈금을 보고 수위를 파악하거나 유속의 빠르기를 보고 유량을 어림
짐작
해서는 제시간에 최선의 대책을 세울 수 없다. 스마트 리버는 하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로 수량의 변화나 유속의 변화를 측정해 어느 지점, 어느 시점에 유속과 수위가 얼마가 될지 예측할 수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01
보면 아귀가 지금의 아귀찜 같은 요리의 재료로 정착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음을
짐작
할 수 있다. 고추가 들어가지 않은 아귀찜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아귀가 오늘날처럼 인기 있는 요리가 된 데는 재미있는 사연이 전해진다. 마산에 살던 한 할머니가 해변에서 굴러다니는 아귀를 아깝게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01
길이는 모두 같다.종이 위에 원이 있을 때 중심점을 알아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림
짐작
으로 중심점을 찍을 수는 있지만 정확하게 알아 내기는 어렵다. 자와 컴퍼스로 여러 차례 선을 그으면 구할 수 있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4번 만에 원의 중심점을 구할 수 있다.원의 중심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01
12월 11일자에 발표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민족의 이동 경로를
짐작
할 수 있다. 인간게놈연구회(HUGO)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은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해 아시아 73개 집단에서 1900여 명의 염색체를 조사해 각 민족들의 이동 경로를 알아냈다고 ‘사이언스’ 논문에서 밝혔다.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01
이 단어는 ‘총계’, ‘합계’란 뜻이다. 이 단어의 어원으로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짐작
해 보면 수를 이용해 개수를 세고 합계를 내는 일을 했음을 알 수 있다.모든 수를 포함하는 가장 큰 수 체계를 우리는 복소수라고 한다. 복소수는 영어로 complex number라고 하며 complex는 ‘둘러싸다’,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12
D-아미노산을 만들어 화학적 신호로 이용하는 진화 과정을 발전시켰음을
짐작
할 수 있다.최근 D-아미노산의 새로운 면모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금까지는 D-알라닌과 D-글루탐산(또는 D-글루타민)만이 박테리아 세포벽인 펩티도글리칸의 구성 성분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그런데 필자가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12
왼쪽 전두피질에 큰 구멍을 만들면서 머리 바깥으로 빠져 나왔다. 그는 즉사했을 거라
짐작
되지만, 놀랍게도 수술 뒤 몇 주 만에 완전히 회복했다. 그 대신 친절하고 분별력 있던 게이지는 거만하고 고집이 세며 충동적인 사람이 돼버렸다고 한다. 전두피질에 입은 손상이 그의 성격을 바꾼 것이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