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측
어림
추리
예측
억측
어림짐작
대중
d라이브러리
"
짐작
"(으)로 총 92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06
발생할 수 있다. 또 수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자주 가는 장소, 행동 패턴 등을
짐작
해 기업의 위치정보 기반 광고에 불법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각종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위치정보 유출을 막는 법그렇다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5
충청도를 품을 만큼 크다. 호수의 끝은 보이지 않았다. 수면에 비친 구름으로 그 끝을
짐작
해야 했다. 해발 3812m의 티티카카 호수는 마치 하늘을 품고 있는 것 같다. 과연 ‘산 위의 바다’라 부를 만했다.이곳 주민들은 특이하게도 ‘물 위에서’ 산다. 기둥을 박아 지은 단순한 수중 가옥이 아니다.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05
써야 하는 문제는 지금보다 더 복잡하거나 개념과 원리가 더 강조된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권오남 교수는“전자계산기는 수학 탐구에 쓰는 도구”라며“계산이 아니라 개념을 익히고 탄탄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쓰면 안 되는 문제 vs 도움 되는 문제수학문제는 전자계산기를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05
즉 교통상황에서 수학의 역할을 상상하면수학이 네트워크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미뤄
짐작
할 수 있다.퇴근시간에 직장 M에서 H라는 주거지까지 10대의 차가 이동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갈수 있는길은 둘이다. 하나는 폭이 좁은 지름길 A인데, 1대만 지나가면 1분이 걸리지만 차가 많아지면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03
말이다. 그러니 이미 오래 전에 과학자들이 이에 대해 연구를 해봤을 거라는 건 쉽게
짐작
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 연구는 현미경이 세상에 나온 다음부터였다. 맨눈으로는 파리를 관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때의 결과로 이 질문에 사람들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파리 다리에 난 미세한 털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02
한판“이판사판이다. 우리 땅 전부를 걸 테니 너희도 다 걸어라!” 김유신의 이런 오기를
짐작
한 계백과 연개소문은 윷놀이 전에 서로 밀약을 맺었다. 백제나 고구려 둘 중 하나가 이기면 서로의 영토는 놔두고 이긴 나라가 신라의 땅을 갖기로. “그래 한 번 해보자. 대신 무르기 없기다.” 계백과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01
이제는 어디에서 진짜 모노폴을 찾아야 할까. 물리학자들은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짐작
도 하기 어려운 모노폴을 찾는 대신 이를 직접 만들어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바로 빅뱅을 재현해서 말이다.세계 최대 가속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는 빅뱅을 재현하기 위해 탄생했다.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무려 1억 6500만 년 동안 지구의 주인이었지만 사람들은 우리가 남긴 뼈와 알, 발자국으로
짐작
만 할 뿐이니 말이야. 친구들은 우리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니? 우선 기본 상식부터 알아볼까? 공룡은 다른 동물과 어떻게 다를까?❶ 중생대에만 살았던 파충류이다. 피부가 비늘로 되어 있고알을 낳기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12
아마 인류는 캐리비안 성운의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고 우주의 나이를
짐작
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또 우주 팽창이론을 성립하지 못하고 암흑물질의 존재도 확인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허블망원경을 인류가 만든 가장 위대한 우주망원경으로 꼽는 것에 대해 나도 동감하고 있다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12
봤던 것을 기억하면 망망대해에서 북두칠성이 어느 쪽에 있는지를 보고 지금 위치를
짐작
할 수 있다. 이때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 삼각형을 그렸다. 그들은 왜 삼각형을 그렸을까? 여기에 위대한 발견이 숨어 있다.세 개의 변과 세 개의 각으로 이뤄진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를 알면 정확한 모양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