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d라이브러리
"
불구
"(으)로 총 1,775건 검색되었습니다.
Are We Having Babies All Wrong?
과학동아
l
201107
앞장서서 북미산파조합을 세웠다. 한편으로는 최근 더 많은 산파들이 출산에 관여함에도
불구
하고(2008년 기준으로 미국 내 전체 출산의 7.5%가 산파를 통해 이뤄졌음) 산파들이 산부인과 전문의들과 병원에서 업무협정을 받아내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2011년 4월 출간한 저서 ‘출산은 ... ...
겨울잠을 자는 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6
겨울잠을 자는 동안 체온이 0℃에 가깝게 떨어지거든요. 또 곰은 높은 체온에도
불구
하고 겨울잠을 자는 동안 에너지는 평소의 25%밖에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요. 게다가 종종 일어나서 털을 고르고 잠자리의 짚을 다시 정리하기도 했답니다.우와~. 신기하군요.아직 신기한 것이 남았어요.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06
항목을 나눠 기준에 의해 점수를 매긴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점수체계가 바뀌었음에도
불구
하고 여전히 점수를 구하는 세부규정이 계속 바뀌어 대회마다 논란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2006년에는 심판의 점수 중 무작위로 2명의 점수를 제외한다는 점이 논란이 됐다.2006년 그랑프리 경기에서 9명의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6
이 연구에 참여한 유인권 교수는 “반알파입자가 만들어질 확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
하고, 이들이 생성되어 검출기에 직접 그 궤적을 남겼다는 일은 대단히 주목할 만한 일이다”라며 “당분간 이보다 더 무거우면서 방사성 붕괴로부터 안정한 반물질이 만들어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106
원근을 무시한 그림, 이상한 도형을 만들다! 오른쪽 그림은 네덜란드의 화가 에셔의 1961년 판화작품 ‘폭포’ 다. 이 그림을 가만히 살펴보면 이 ... 펜로즈의 삼각형을 볼 수 있는 조형물이 있다. 세 개의 막대가 분명히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
하고 특정한 각도에서 보면 삼각형처럼 보인다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
수학동아
l
201105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이 비율을 아름답게 느낀다. 문화와 정서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
하고 건축물을 세우거나 그림의 구도를 잡을 때, 심지어 편안하고 안정된 음악을 작곡할 때에도 이 비율을 사용해 오고 있다.하지만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의 인체 비율이 황금비를 따르지 않고,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진화를 거쳐 포유류에서는 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이런 놀라운 발견에도
불구
하고 포스터 교수의 논문은 ‘비교생리학저널A’라는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는 저널에 실렸다. 그는 1980년대 연구 결과들을 ‘네이처’ 같은 일급저널에 실은 인정받는 과학자였지만 이 논문이 주장하는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5
“한국은 IT기술도 좋아서 원격 운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하지만 뛰어난 기술력에도
불구
하고 독도에 해양기지를 세우는 일은 만만치 않다. 가장 큰 어려움은 계절풍이다. 여름이면 태풍과 장마로 날씨가 궂고 가을부터는 수온이 낮다. 실질적으로 기지를 설치할 수 있는 기간은 4월에서 7월뿐. 이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04
올라가 노심용융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물론 이런 기술적인 대책에도
불구
하고 원전 자체의 안전에 여전히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이번 사고가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대형 재해에 인간의 기술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 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전 기술 덕분에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4
자손은 부모의 형질을 고루 갖추고 있으므로 이 학설을 뒷받침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 학설은 17~18세기 동안 지배적이었다. 세포의 발생과정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한 19세기 중엽이 돼서야 단순한 상태부터 복잡한 상태로의 발전이 일어나 구조가 새롭게 생겨난다는 후성설(epigenesis)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