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아니다. 마른안주의 대명사 노가리도 식탁에서 보기 힘들어졌다. 참조기는 구경하기가
하늘
의 별 따기다. 혹시 ‘갈치가 옛날보다 왜 이렇게 작아졌을까?’ 하고 궁금해 한 적은 없었는가. 최근 한국의 연근해가 이상 징후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남획이 큰 이유라고 설명한다.산란기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표기한다. 진도 Ⅰ은 극소수의 사람만이 느끼는 미세한 진동이고 진도 XII는 물체가
하늘
로 던져지는 경천동지(警天動地)할 대사건이다.이번 지진의 경우 발생지점에 가까운 울진 지역은 진도 V(5)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지진을 느끼고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깨는 정도였다. 반면 서울에서는 진도 Ⅱ로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5단 이상으로 쌓은 탑을 위에서 바라본 듯한 천체를 만날 수 있다. 바벨탑과 비슷하게
하늘
을 찌를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천상으로 향하는 계단’ 같기도 하다. HD44179라는 이름의 이 천체는 사실 ‘빨간 사각형’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지상망원경에서는 불그스름한 네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람들의 상상력에 불을 지폈고 민간 유인우주관광 산업의 탄생을 알렸다”고 평가했다.
하늘
과 우주를 탐험하는데 평생을 보낸 루탄과 멜빌, 그리고 그들이 꿈을 이루도록 밀어준 앨런. 이들의 꺼지지 않는 젊음이 공상속에나 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우주여행시대를 조만간 가능한 현실로 성큼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가깝다.뱀자리는 땅꾼자리를 기점으로 해서 찾아간다. 땅꾼자리는 오각형으로 여름철 밤
하늘
에서 대단히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오각형 아랫변의 좌우로 뱀자리가 위치해 있다. 뱀의 꼬리에 있는 별들 중 가장 밝은 별은 끝부분에 있는 에타별로서 3등성이다. 밝은 별이 없는 만큼 그리 눈에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공기 콘덴서가 사용되고 있다 봄밤 남쪽
하늘
에 보이는 별자리 1751년 라카유가 남쪽
하늘
에 신설한 14별자리 중의 하나로서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10h0m, 적위(赤緯) -35˚이다 동력원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권양기(捲揚機) 호이스트로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식이 보통이지만, 탄광 등 폭발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 연대가 기원전 12세기까지 올라간다. 조선왕조에서 사용된 편경의 ‘ㄱ’자 모양은
하늘
이 굽어 땅을 덮는 형상이라고 한다. 세종장헌대왕실록이나 악학궤범의 기록을 보면 경의 크기는 모두 같고 두께로 음의 높낮이를 조정한다고 나와있다.편경은 모두 16개의 경석으로 이뤄져있는데 각각의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활짝 편 나비처럼 보이는 벌레성운의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한 벌레성운은 지구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있다.성운의 화려한 운무는 수명이 다해가는 별이 내뿜는 가스와 먼지가 빛을 산란시켜 연출된 것이다. 나비가 연상되는 벌레성운의 나비 몸통에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랩터는 시조새보다 2천만년 후에 살았지만 4장의 날개로
하늘
을 날았던 새에 가까운 생명체다. 반면 시조새는 긴팔을 제외하면 새의 골격구조가 아니라 오히려 육식공룡에 가깝다고 크리스찬센 교수는 주장했다.마이크로랩터 화석과 시조새에서 새로 발견된 깃털 ... ...
우주공간에 있는 거대 다이아몬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구에 존재하는 천연 광물질 가운데 가장 강한 다이아몬드는 탄소 결정체에 불과하지만 광채가 아름다워 ‘보석의 왕’으로 불린다. 고대 그리 ... 고리 안에 위치한 행성에 누군가 살고 있다면 파란 별들의 눈부신 띠가 보석처럼 빛나며
하늘
을 가로지르는 장관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