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입증하려는 화성탐사선의 노력은 쓸데없는 일인 셈이다.한해 동안의 수확에 기뻐하며
하늘
에 둥둥 떠있는 음력 8월의 대보름달을 향해 감사를 드렸던 우리 선조들은 이미 달이 생명의 근원임을 알고 있지 않았을까 ... ...
지름 35광년짜리 '슈퍼 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아이의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새와 짐승들이 모여 춤을 추고
하늘
과 땅이 흔들리며 해와 달은 더욱 밝게 빛났다. 그래서 아이의 이름을 ‘세상을 밝게 다스린다’ 는 뜻인 혁거세(赫居世)라고 지었다. 알의 모양은 박과 같아 성은 박이라고 했다. 박혁거세는 13살 되던 해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적색별이다 궁수자리(Sagittarius) 남쪽에 늘어선 작은 별자리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남쪽
하늘
에 낮게 떠 보인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18h 30m, 적위(赤緯) -41˚ 밝은 별은 별로 없고, 몇 개의 4등성·5등성이 왕관에 달린 보석처럼 반원형(半圓形)으로 늘어서 있으며 북쪽왕관자리에 대응시켜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아니다. 마른안주의 대명사 노가리도 식탁에서 보기 힘들어졌다. 참조기는 구경하기가
하늘
의 별 따기다. 혹시 ‘갈치가 옛날보다 왜 이렇게 작아졌을까?’ 하고 궁금해 한 적은 없었는가. 최근 한국의 연근해가 이상 징후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남획이 큰 이유라고 설명한다.산란기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름달 그림자 무지개 자동차 그리고 비행기.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밤
하늘
을 훤히 비추는 보름달과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사 ... 빛나고 있을 또다른 태양을 찾아 떠나야만 한다. 그리고 그때가 되면 새로운 행성의
하늘
에서 밝게 빛나는 2개 혹은 3개의 태양을 볼 수 있지 않을까 ... ...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밤
하늘
을 수놓는 아름다운 별빛은 때로는 시인의 가슴을 두드려 한편의 시가 되고, 때로는 작곡가의 마음을 파고들어 한곡의 노래가 된다. 그리고 때로는 별빛을 선망하며 그 정체를 찾아나선 사람들을 과학의 세계로 이끌어준다.사실 ‘빛’ 만큼 오랜 세월동안 인간을 매료시킨 것도 드물다.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달 사이를 거의 채울 정도로 큰 고리는 토성에만 있다. 그래서 간단한 망원경으로도 밤
하늘
에서 토성의 고리는 확인이 가능하다.카시니호는 앞으로 토성과 고리, 그리고 여러 위성에 대한 자료를 지구로 전송해줄 것이다. 이 자료들은 태양계에서 행성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그래서 바위틈이나 바위 밑 그늘에 많이 모인다. 사람으로 치면
하늘
이 바로 보이는 곳보다 천장이나 지붕이 있는 장소를 좋아하는 셈이다. 인공어초를 설계할 때는 이런 습성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인공어초 내부 너비는 약 2m로우럭이나 볼락에겐 너무 넓어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제우스는 번개로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였지만 의사로서의 훌륭한 업적을 기려 그를
하늘
의 별자리로 만들어줬다.‘작은 귀신’ NGC6369는 죽은 이를 살리는 명의 아스클레피오스를 만나기 위해 뱀주인자리 주변을 서성이는 게 아닐까. 비록 귀신이지만 다시 살아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사실 NGC63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두 성운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두 성운은 아주 맑은
하늘
에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며 두 성운이 분리된 모습을 뚜렷이 볼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정설이다. 즉 우리는 성운 사이를 가로지르는 암흑성운의 존재를 맨눈으로 확인한 것이다.쌍안경을 사용하면 더 잘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