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어
국어
조선말
조선어
나랏말
국어과
국어과목
d라이브러리
"
한국말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2050년 8월. “심장에 스트레스를 줄 시간입니다.” 김무환 씨는 심근경색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갑자기 아버지의 심장혈관이 막혔고 가족은 미쳐 손을 쓸 틈도 없었다. 김씨는 최근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등장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자신만은 가족에게 아픔을 줄 수 없다는 생각에 일주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요즘 전자기기 중에 반도체 메모리가 들어있지 않은 제품이 있을까. 복잡한 컴퓨터는 물론이고 냉장고, 전기밥솥과 같은 일반 가전제품에도 메모리가 들어있다. 메모리는 이미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가장 많이 쓰는 메모리는 D램과 플래시메모리다. 컴퓨터의 주 메모리로 많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007년 7월 7일 오전 7시 남태평양의 어느 섬. 한국의 통큰그룹과 영국의 기네스사 사이에 흥미진진한 대결이 펼쳐진다. 두 회사의 사운이 걸린 이 대결의 주제는 ‘우주 최고를 찾아라’. 한달 전 두 회사의 CEO가 공동 사업을 협의하기 위해 골프회동을 가졌는데, 두 사람은 악수를 하려다가 갑자기 ... ...
'질환별 표준 뇌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고맙습니다’에 치매에 걸린 ‘미스터 리’라는 할아버지가 등장해 어린아이 같은 말과 행동으로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아이 같은 어르신’이 많아진 탓인지 치매에 대한 관심도 부쩍 늘었다.보건복지부는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영혼의 횃불, 병아리 집. 알퐁스 도데(1840~1897)의 ‘별’이라는 소설에서 만날 수 있는 아름다운 별이름이다. 알프스의 목동이 큰개자리 시리우스와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성단을 각각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별과 별자리에 붙인 이름은 지역마다 고유한 전설이나 풍습을 반영해 서로 달랐다. 하지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미국 MIT 과학자들이 전기선 없이도 전원에서 2m 떨어져 있는 전구의 불을밝히는 실험에 성공했다. MIT는 이 기술에 '무선전기' (wireless electricity)를 줄인 '와이트리시티'(WiTricity)라는 이름을 붙였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는 ... ...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인간 어뢰’로 불리는 호주의 수영 선수 이안 소프는 전신수영복을 입고 3관왕을 차지했다. 당시 수영 금메달 33개 가운데 25개를 가져간 선수들은 모두 전신수영복을 입었다.2004년 아테네 올림픽. 미국의 ‘수영 신동’ 마이클 펠프스는 스피도가 개발한 전신수영복을 입고 6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된장을 담는 항아리에 숯을 띄운 건 조상들의 오래된 지혜다. 이렇게 하면 숯이 오염 성분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해 된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이는 넓은 표면적 덕분이다. 숯에 뚫린 무수한 구멍은 엄청나게 많은 물질을 쌓아 놓는 저장고 노릇을 한다. 유해 물질이 숯 내부에 다량으로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지난 5월 10일 동양건설산업은 전라남도 신안군 태천리 일대에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기공식을 열었다. 축구장 80개 넓이에 이르는 부지에 건설되는 이 발전소는 6000여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예정이다. 게다가 연간 2만 톤의 온실가스를 줄여 1억8000만원의 온실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누군가에겐 넘치는 ‘장난기’로 엘리베이터 안의 층 버튼을 모두 누르고 달아나던 경험이 있을지도 모른다. 뉴밀레니엄을 맞으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지구 표면에서 우주궤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어마어마한 높이의 엘리베이터 탑을 건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고, 영화 ‘찰리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