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어
국어
조선말
조선어
나랏말
국어과
국어과목
d라이브러리
"
한국말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문가들은 중국의 양쯔강돌고래가 거의 멸종됐다고 말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양쯔강돌고래는 인간에 의해 멸종된 최초의 고래과 동물로 기록될 것이다. 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욕 태생 콜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후 모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어 중성미자(中性微子)의 실체에 관해 연구했다 특정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예금과 적금, 주식, 채권, 펀드, CMA 등 우리는 금융상품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하루에도 수십 개의 금융상품이 탄생했다 소리 없이 사라진다. 예금이나 적금 통장 하나면 충분할 텐데 왜 이렇게 많은 금융상품이 만들어지는 걸까.내일 당장 원유 가격이 오른다면? 주가가 폭락한다면? 기상이변이 발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향기는 메시지를 싣고“음~, 부드러운 향기. 나를 부르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어디 한번 가 볼까?”수컷 나방이 향기에 끌려 날아들었다면 암컷 나방의 향기 신호 보내기는 성공!사람들이 언어로 생각을 전하듯 생물들은 향기로 이야기를 한다. 굳이 향기가 아니라도 소리나 몸짓으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내 이름은 나세포. 오늘도 어김없이 오전 6시에 눈을 떴다. 늦잠을 자려해도 계속 울려대는 위층 신경세포의 사이렌 소리가 시끄러워 더 잘 수가 없다. 매일 아침 이렇게 ‘모닝콜’을 해주는 녀석에게 화를 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오전 9시. 하루 일과를 시작하려는 순간 옆집 피부세포가 문을 쾅쾅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그의 질주는 계속된다_뜨거운 햇볕이 모든 것을 녹여버릴듯 이글대는 7월의 오후. “안전운전하십시오”라는 GPS 음성이 흘러나오기 무섭게 운동장을 박차고 달리는 자동차 한 대가 있다. 레이서는 바로 KAIST 산업디자인학과 3학년 조대용(21) 씨. 그에겐 KAIST도, 세계도 127만km2다. 대한민국 이공계의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KAIST1. 세계가 주목하는 스타과학자가 있다! 세계의 수학계에 필즈메달이 있다면 우리나라의 과학계에는 ‘젊은 과학자상’이 있다. 이 상은 필즈메달과 마찬가지로 수상자의 자격을 ‘40세 이하’로 제한하므로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바로 ‘젊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요즘 전자기기 중에 반도체 메모리가 들어있지 않은 제품이 있을까. 복잡한 컴퓨터는 물론이고 냉장고, 전기밥솥과 같은 일반 가전제품에도 메모리가 들어있다. 메모리는 이미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가장 많이 쓰는 메모리는 D램과 플래시메모리다. 컴퓨터의 주 메모리로 많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담쟁이덩굴에 붙어있는 저 잎 말이야. 마지막 한 잎이 떨어지면 나도 가는 거야.”오 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에는 폐렴에 걸린 무명 화가 존시가 등장한다. 그는 하루 종일 창밖의 해묵은 담벼락만 바라보며 담쟁이 잎이 떨어질 때마다 죽음이 한 발작씩 다가온다는 망상에 빠져있다.비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2050년 8월. “심장에 스트레스를 줄 시간입니다.” 김무환 씨는 심근경색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갑자기 아버지의 심장혈관이 막혔고 가족은 미쳐 손을 쓸 틈도 없었다. 김씨는 최근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등장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자신만은 가족에게 아픔을 줄 수 없다는 생각에 일주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얼마 전 한국과학사의 개척자 전상운 선생의 책을 영어로 번역한 내용을 점검한 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미국인의 번역문에는 오역이 여럿 눈에 띄었다. 전상운 선생은 앙부일구라는 해시계를 모양대로 ‘오목해시계’라고 불렀는데, 번역자는 절기선과 시간선이 그려진 면이 바둑판 같다고 여겨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