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먹고 잔 다음날처럼 퉁퉁 부어 오른 것이다. 하우스 박사는 우리의 이런 얼굴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알기 쉽게 설명해 줬다. 지구에서는 중력의 영향으로 혈액과 체액이 머리보다는 다리 쪽에 좀더 몰려 있다. 하지만 무중력 상태에서는 몸의 중심부와 얼굴에 몰리기 때문에 얼굴이 퉁퉁 붓는다.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로 연수를 갔고, 여기서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중요한 질화갈륨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백색 LED를 조명기기로 쓰려면 지금보다 가격은 낮추고 밝기는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의 사파이어 기판이 아닌 대규모 질화갈륨 기판 위에서 LED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질화갈륨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몸집 자체도 작아지고 있어서 그저 상대적인 결과일가능성도 있다.정보 처리 능력에
대해
서도 논란 중이다. 이 교수는 “3만 년 전 이후 문화나 문명의 복잡도를 생각했을 때 집단 전체의 정보처리 양은 늘었다”며 “하지만 작업의 분업화와 계급화로 오히려 개인의 정보처리 양은 줄어 들었을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때 우리 몸에서 어떤 질병이 생기는지 알 수 있다. ③ 음료수에 들어 있는 유해 성분에
대해
알 수 있다. ➃ 물을 적정량 꾸준히 마셨을 때의 긍정적인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무학년 과학 교사는 학생들에게 하루에 물을 어느 정도 마시고 있는지 묻고 대답하는 시간을 통해 수업에 대한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가장 기초 단계부터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PC로 스크래치의 기본 기능과 용어에
대해
배우며 수업을 시작했다.스크래치란?스크래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컴퓨터공학과 미첼 레즈닉 교수가 만든 교육용 소프트웨어로, 이를 이용하면 학생들이 코딩을 쉽게 배울 수 있다. 스크래치는 명령어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플로리다주립대로 1년간 유학을 떠나게 된다. 이 때 질화갈륨 결정의 성질과 성장방법에
대해
알게됐고 이듬해 일본으로 돌아와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판 위에 낮은 온도의 질화갈륨 완충층을 올려 고온으로 표면처리를 한 후, 그 위에 질화갈륨 박막을 기르는 방법을 고안해 훌륭한 품질의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영국 등에서는 열에 대한 지나친 공포로 해열제를 잘못 써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NICE는 “해열제 자체로는 열성경련을 막을 수 없다. 열성경련 예방을 목표로 해열제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한다. 물론 해열제를 먹이는 것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다. 아이의 체온이 높다고 해서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깨나 위·변조 방지 방법만 고민합니다. 그게 제일이니까요. 그렇게 축적한 노하우에
대해
서 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많이 공유돼서 짝퉁 없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어요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통계학자인 호나탄 히메네스 교수팀은 이번 월드컵에서 어떤 나라가 우승할지에
대해
연구했다. 지금까지 나라별 축구 성적과 전 세계 축구팬들이 배팅한 금액을 고려해, 두 나라가 경기할 경우 누가 이길 것인지 확률을 따져 가상 월드컵을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이번에 우승할 가능성이 가장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방울을 본 적이 없어서 그날 밤 저는 유리에 완전히 매료됐습니다. 그걸 계기로 유리에
대해
공부했고, 유리 불기로 예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작품이 자연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잘 어울려요. 어떻게 이런 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처음부터 그렇게 만들어야겠다고 의도한 것은 아니었어요.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