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 호르몬이 백혈구를 만드는 림프구의 분비를 감소시켜 면역
기능
을 떨어뜨린다.스트레스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부모가 위기에 처한 자식을 구할 때는 물론, 그 반대의 상황에서도 스트레스는 힘이 된다. 지난 어버이날 15세 남학생이 전신에 화상을 입으면서도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난해 9월부터 경기도 용인에 있는 바이오피아로 출근하고 있다. 김 박사는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는 바이오피아에 출근해 전체 기술자문과 함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김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20여년 동안 식품공학을 연구한 뒤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원장을 지낸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회로에서 신호의 질적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정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등 기본
기능
의 향상을 꼽을 수 있다또한 회로를 반도체 부품만으로 구성하므로 아날로그로서는 한계가 있던 부품의 집약화도 이룰 수 있다모든 정보를 디지틀 신호로 바꾸어 처리하는 통신 디지틀 신호는 신호가 있고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일종의 자동차 배기가스와 같다. 그런데 이 활성산소가 어느 정도 모여야 항산화
기능
이 생긴다. 항산화 방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일종의 ‘마중물’을 붓는 것이다.이같이 세포는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세포는 암세포가 생기지 않도록 해독효소를 만들어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필기를 하며, 전자칠판 아래쪽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면 글자의 색상 바꾸기, 지우개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칠판에 적은 내용은 손가락 클릭 한번으로 학생들에게 e메일로 일괄 전송되며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또 소방방재청에서는 재난에 신속히 대비하기 위해 태블릿PC를 활용한다. 집중호우를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하면서 동시에 생체호르몬을 활성화시키는
기능
을 한다. 갈색지방세포의 경우 발열
기능
이 있어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 발달돼있다. 사람의 경우 소아에게서만 볼 수 있고 나이가 들수록 백색지방세포로 대치된다. 이는 미숙했던 온도 조절 뇌중추가 발달하면서 갈색지방세포가 퇴화하기 때문이다 ... ...
상어는 몸 전체가 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냄새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아테마 교수팀은 옆줄이 냄새를 맡는
기능
을 할 뿐만 아니라 이를 분석해 사냥감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연구팀은 물이 계속 순환하도록 만든 물탱크에 오징어 냄새만 뿌린 뒤 상어의 행동을 관찰했다. 상어는 ... ...
처녀 상어, 새끼 낳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동맥이 있다 신피질(新皮質) 이외의 대뇌피질, 즉 구(舊)피질과 고(古)피질이 이루는
기능
계 대뇌피질을 계통발생 및 개체 발생적으로 보면 오래된 것 순으로 구피질 · 고피질 · 신피질의 셋으로 구분되는데, 구피질과 고피질을 통틀어 변연피질이라 한다 전파(電波)가 대류권의 영향을 받으면서 ... ...
가짜는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과 세라믹 등을 이용해 튼튼한 인공치아를 만든다. 원래 치아와
기능
과 모양이 똑같으면서 충치가 생기지 않는다. 진짜보다 부드러운 가짜 비단“하늘하늘~ 부드러운 비단한복! 비단을 따라올 옷감은 없어.”정말 그럴까? 비단의 매끄러운 감촉을 흉내낸 합성섬유가 있다.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같은 차세대 에너지 장비의 핵심 과제이기 때문에 의미가 큽니다.”지난 2001년부터
기능
성나노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유룡 교수는 나노미터 크기의 다공성 탄소물질을 연구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자다.실리카 거푸집으로 다공성 탄소물질 만들어유 교수가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