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연구 성과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손상된 DNA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단백질 구조와
기능
을 속속 밝혀 2단계 3년 동안에는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22편이나 발표했다. 학술지의 표지를 장식한 일도 3번이나 됐다.“사실 우리 연구단에는 NMR보다 더 귀한 보물이 있죠. 바로 밤을 새우며 NMR에서 얻은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목적에 사용된다 하지만 천체 운행의 간단한 계산기로도 이용된다 플라네타리움은 그
기능
상 크게 3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 째 항성 투영부에서는 작은 구멍에 의해 전 하늘에 걸쳐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은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온라인에서 모르는 사람을 새로 만나 친구가 되고 상대를 스카우트하고 사업 파트너를 만나고 애인을 얻어 결혼에 골인한다. 인터넷 공간에서 이 모든 일 ... 네트워크 성격이 강했지만 최근 등장한 2세대 SNS는 믿을만한 프로필과 커뮤니티
기능
을 갖춰 생산적 인맥을 맺을 수 있게 해준다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입체구조가 변하면 단백질은 고유의
기능
을 잃는다. 바꿔 말하면 단백질의 구조가
기능
을 결정하기 때문에 그 구조를 알아내는 일 역시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해온 방법은 X선 회절법과 핵자기공명법.X선 회절법은 물질에 X선을 쪼여 산란되는 빛을 분석해 미세구조를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성호르몬은 종족의 유지에 중요하며, 남성 또는 여성의 발육, 생식기관의 발달 및 그
기능
을 발현시킨다 특히 정소(精巢)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만들어지는데, 그 작용에 주목할 경우 안드로겐이라는 이름이 사용된다 따라서 안드로겐은 정소에서 분비되고 남성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 이에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교각이 여러 개 있으면 강물이 흐르는 데 지장이 생기는 것과 같다.흙탕물 정화
기능
은 열대 해양 생물의 주요 서식처인 산호초를 지키는 데 결정적이다. 산호는 식물 플랑크톤과 공생 관계를 이루며 산다. 그런데 바다에 흙탕물이 유입되면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못해 죽고 만다. 흙탕물이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카페키 교수와 스미시스 교수는 포유류 배아줄기세포의 유전자를 변형해 유전자의
기능
을 정확히 밝히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들은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연구결과를 앞 다퉈 발표하던 경쟁자이기도 했다. 그리고 에번스 교수는 포유류인 쥐의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안에 약물을 방출하는 원리다. 미국의 의료기기 회사 마이크로칩은 여기에 바이오센서
기능
을 추가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맞춰 전기신호로 약물을 자동으로 방출하는 똑똑한 약물방출시스템을 개발했다. 머지않아 의사의 진단도 주사기도 필요 없는 ‘손톱 크기의 병원’을 우리 몸에 ... ...
차세대 로봇청소기 베스트3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못믿는 사람들이 가진 불만은 흡입력이 약하다는 점이다. 작은 몸체에 다양한
기능
을 넣다보니 흡인력이 강한 진공청소기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다. 로웰 베이직은 이런 아쉬움을 해결해 줄 강력한 흡입력을 갖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이 좋고 영구적인 BLDC 모터를 사용, 다른 로봇청소기보다 2배나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없는 획기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유전자 조작의 안전성을 검증해야 하고 또
기능
을 하는 인슐린 분비 세포를 만들어야 하는 등 가야할 길은 아직 무척 멀다. 그러나 가능성이 보이는 한 과학자들은 그들의 갈 길을 계속 갈 것이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