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여행을 떠나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도 낯선 환경이 마음의 주의를 돌리기 때문입니다.”
결국
명상은 자기 내면으로 떠나는 여행이다. 그러나 가부좌를 틀고 앉아 눈을 감는다고 이런 잡념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몸이 근질근질하고 다리가 저려오면서 이런저런 생각이 더 기승을 부린다.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인간과 장내세균은 오래 전 결혼한 부부입니다. 살다보면 좋을 때도 있고 싸울 때도 있잖아요. 둘이 어떻게 돕는지, 왜 싸우는지, 얼마나 사랑하고 얼 ... 이러다 박사 못 되는 거 아냐. 나도 그랬으니까요. 하지만 처음에 좀 느린 것 같아도
결국
끊임없이 도전한 사람이 앞서 가더라고요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효과가 나타났다. 비타민A를 굳이 주사로 맞힐 필요가 없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결국
인류는 지금까지도 비타민A를 영양제 형태로 복용하고 있다.끊임없이 연구하는 사람들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는 걸까. 미국의 칼럼니스트 지니 그레이엄 스콧은 미래 사회에서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기생하면서 하이드로게노솜에 딱 달라붙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으며 살고 있다.
결국
진핵생물 진화는 식량인 수소기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메탄생성고세균의 필요에서 출발했으므로 이들은 ‘수소가설(hydrogen hypothesis)’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마틴 박사와 뮐러 박사는 1998년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쓰기 위해서였다. 이는 학계에 도전적인 작업이었기에 시작부터 매우 조심스러웠다.
결국
이들은 자신들의 존재를 감추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어떤 한 사람의 이름처럼 보이는‘니콜라 부르바키’라는 필명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부르바키는 현재까지 34권의 이라는 위대한 수학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조조는 음식이 담겨 있지 않은 빈 도시락을‘더 이상 먹지 말라’는 뜻으로 보낸 것으로,
결국
순욱에게 ‘자결’을 명한 것이다. 하지만 태종이 세종에게 건 낸 빈 도시락은 ‘자결’의 뜻이 아닌 사랑하는 아들을 위한 일종의 도움말이었다.벗겨지는 마방진의 비밀빈 도시락은 마방진의 결정적인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교수는 다시 고민에 빠졌다. 그래프대로 저글링해도 공을 던지는 횟수가 많아지면
결국
일정한 규칙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려면 지금까지 던진 방법을 모두 외운 뒤 그 방법을 피해 던져야 한다. 그런데 30번만 공을 던져도 대부분 지금까지 어떤 방법으로 던졌는지 다 기억하지 못한다.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능하며 보다 발전된 기술이었지만 개발이 더뎠다. 중국이 921계획에서 밝힌 원칙은
결국
발전가능성보다는 빠른 시간에 두 나라를 따라잡겠다는 목표를 최우선시 한다는 뜻이었다(2011년 미국이 우주왕복선 운항을 중지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국의 판단은 틀리지 않았다).1999년 11월, 첫 번째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말단에는 텔로미어란 부분이 있다. 세포가 분열하면 텔로미어가 점점 짧아지는데
결국
사라지면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죽는다. 그런데 세포는 텔로미어의 단축을 지연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다. 텔로머라제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짧아진 텔로미어를 복구해 노화를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며 서로 신호를 주고받도록 만듭니다. 그 숫자가 수만 개, 수백억 개로 많아지면
결국
인간의 뇌처럼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고를 할 수 있게 되겠지요. 진짜 인간의 뇌세포도 ‘뉴런’이라는 세포에서 주고받는 전기자극으로 움직이는 것이니까 언젠가는 ‘사람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인공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