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작은 파리에 엑추에이터가 무려 4개나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 무게 때문에 파리로봇은
결국
날지 못했다.하지만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개발한 파리로봇은 비행에 성공했다. 우드 교수팀은 다른 전략을 취했다. 파리가 움직임을 만드는 원리는 물론 그 내부에 주목한 것이다. 파리는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활발히 진행됐다. 그러나 이 입자가 특정 세포에서 독성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결국
화장품으로 개발하지는 못했다.나노 국제 단위계에서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말. nm(나노미터) 등으로 표시한다.[나노구조물 만들기]나노조각 VS 나노소조나노크기의 구조물을 만드는 것은 미술 조형물을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우리처럼 메주를 만들어 장을 담갔습니다. 하지만 기후가 너무 습해 메주가 쉽게 상했죠.
결국
일본인들은 메주를 발효시키는 미생물 중에 세균인 낫토균(Bacillus natto)과 곰팡이인 황국균을 골라 콩에 직접 접종하게 됐습니다. 바로 낫토죠. 하지만 우리는 메주를 그대로 만들어 먹었죠. 당연히 ... ...
도니는 들판을 달리고 싶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북한산까지 오게 됐지요. 하지만 여기도 갈수록 사람이 많아져서 맘이 편치 않아요.
결국
우리아빠는 산 아래로 내려갔고, 저도 아빠를 따라서 새로운 살 곳을 찾아 내려가기로 결심했답니다.사실 멧돼지는 원래 풀이 많은 들판에 사는 동물이에요. 들에 많이 자라는 초본식물을 즐겨 먹는 멧돼지의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때문이다. 이를 ‘케슬러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과학자들은 파편이 계속 늘어난다면
결국
위성이 들어갈 공간조차 없어질 거라고 예상한다. 3㎜ 크기를 가진 우주 쓰레기가 우주왕복선 챌린저 호의 강화 유리 창문을 깨뜨렸다. 아주 작은 틈이라도 우주선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기상천외! 우주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95~98%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나머지는 뮤신을 포함한 다양한 성분이 들어있지요.
결국
뮤신이 더 많이 들어있는 콧물이 침보다 끈끈하다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콧물에 수분이 많아지면 침이 더 끈끈할 수도 있답니다!암내 VS 발냄새더 고약한 냄새는?냄새도 비교할 수 있을까? 암내와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만들고 남은 금 1.2㎏을 빼돌려 다른 곳에 사용했지요. 사기사건으로 얼룩진 제4대 국새는
결국
폐기됐어요제5대 2011년 10월 ~ 현재과학으로 만든 국새제5대 국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금속을 다루는 기술이 많은 MK전자, 예술세계와 함께 만들었어요. 제3대 국새처럼 쉽게 금이 가지 않도록 강도가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이번 대결은 앞으로 힘을 합쳐 위기를 해결하자는 차원에서 악수하면서 마무리해 볼까?
결국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를 가리는 대결이 1:1 상황에서 끝나고 말았네요? 차라리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누가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라고 생각하는지 물어 보는 건 어떨까요?좋은 생각이야! ... ...
세계적인 선박왕 '지바페만 배가만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향했다.“위대한 발명가의 탄생! 하지만 누가 노벨인지 맞혀~봐! 노벨이 사라지면
결국
그 형도 발명을 할 수 없게 될걸?”문제 3바닥에 알파벳이 쓰여 있다. 알프레드 노벨의 이름을 알파벳 순서대로 찾아서 어떤 아기가 노벨인지 맞혀 보자. 알프레드 노벨은 영어로 ALFRED NOBEL이다. (단, 대각선으로는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조사를 시작했어요. 5년 동안 러시아와 일본을 포함해 강치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한 마리도 발견하지 못했답니다. 하지만 아직 조사하지 못한 북한과 러시아의 통제지역에 있는 섬에 아직 강치가 살아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를 하고 있어요.한상훈 박사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