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어요.그런데 금수저와 흙수저에 대한 인식을 뒤엎는 놀라운 결과가 있어요. 환경부와
서울
대 산업협력단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표토가 약 26조 4000억 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어요. 유기물과 미생물이 풍부한 표토는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거든요.양분을 제공하고 ... ...
[Editor’s Note] 고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다음 달에도 기대하시라.송준섭 기자와 이영혜 기자는 정확히 30년 전에 대학에 들어간
서울
대 물리학과 동창생들을 불러 모아 추억의 사진을 재현하고 사연을 들었다. 이 날도 몹시 춥고 눈이 많이 왔다. 찬 비가 온 전 달에 이어 ‘송 기자가 촬영을 가면 날씨가 나쁘다’는 징크스(비과학적인)를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분야에서는 김대옥(경희대)·김세권(부경대) 등 2명, 동물학및식물학 분야에서는 박충모(
서울
대) 교수가 선정됐다. 현택환 교수는 소재과학 분야에서도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 ...
[News & Issue] 과학동아 창간 30주년,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잡지 증정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과학동아 창간 30주년을 맞아 동아사이언스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과학동아 2000부를 증정한다. 이번 증정은 취재와 집 ... 지원하고 육성하는 컨트롤타워로 2014년 6월 출범했다. 증정식은 1월 6일 오후 3시
서울
용산구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열렸다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중국무술이 잘못 따라한 걸까요. 실제 동물이 싸울 때의 특징부터 알아보고자 신남식
서울
대 수의대 교수(야생동물의학교실)를 찾아갔습니다. 신 교수는 “해부학적으로 사람과 동물들이 너무 다른데 공통점이 있을까요?”라며 사람이 하는 동작이 애초에 동물을 따라할 수 없다고 선을 긋습니다.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자리를 빛내준 86학번들에게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 자리의 유일한 홍일점인 김미영
서울
대 재료공학부 교수에게 ‘남자만 가득한 물리학과에서 힘든 점은 없었냐’고 묻자 “없었다”고 대답했다. 남학생들이 즐겨하던 ‘팩차기’ 이야기를 꺼내자 그는 “나도 같이 했다”고 말했다.단체사진도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수학과 과학으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도움 및 논문 : 최덕근
서울
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미국 알링턴 텍사스대 크리스토퍼 스코테스 교수팀. 미국 예일대 지구물리학과 로스 미첼 교수팀의 ‘Supercontinent cycles and the calculation of absolute palaeolongitude in de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우주 팽창 연구에 사용되는 제1a형 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를 제시했다.임명신
서울
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과 보통 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중 하나가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변수를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대책이 달라진다. 김주한
서울
대 의대 교수는 “정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변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변화에도 대처할 수 있다. 조현병과 조울증은 1800년대 후반까지 가을에 태어난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했다.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광유전학은 최근 의학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정신질환 치료법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기 때문이다.20세기에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현대 의학은 그동안 난치병으로 여겨지던 수많은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때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던 무시무시한 인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