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스승인 황적준 고려대 교수를 보고 법의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황 교수는 1987년 서울대 박종철 학생의 고문치사 사건 당시 검시를 맡았던 법의학자로, 정권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박 씨가 고문으로 죽었다는 진실을 밝혔다. 그 모습을 보며, 억울한 죽음을 밝히려는 노력은 사람에 대한 연민과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서울대학교 김대형 교수팀이 몸에 붙일 수 있는 기억 장치를 만들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해 기억 장치를 제작했어요. 금 나노 입자는 같은 면적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화학물질과 만나도 잘 고장 나지 않아 기억 장치를 만들기에 매우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470kg 정도의 초소형 전기차에는 100kg 이상의 배터리가 들어 있어요. 1회 충전으로 최대 서울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거리인 100km까지 이동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충전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고, 효율은 지금보다 2배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답니다. # 오우~! 스마트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맹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1월 초, 2016 태국 탐사대는 태국 남부 사뚠 지역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바다에서 특별한 체험을 했다. 하얗고 고운 모래가 잔뜩 깔린 무인도에서 소라게도 만나고, 파도가 칠 때마다 자갈돌들이 와글와글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도 들었다. 멸종 위기에 놓여 있는 이 지역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뭐라고 답하셨나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 37명은 배우 신민아가 노트북을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같은 설문에 응했습니다. 단, 신민아가 배우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조사에 응하라는 조건이 붙었습니다. 그 결과 26명이 ‘전문직 여성이고, 미혼일 것이다’에 투표했습니다. ‘가정주부일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상상해 보세요~!도움 및 사진 : 최덕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이융남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박진영 (‘대중을 위한 고생물학 자문단’ 독립연구원), 이상희 (UC리버사이드대학교 인류학과 교수),Global Paleogeography,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참조 : (스콧 ... ...
- [공지]전국 주요 과학관 무료 입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드론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다.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가 다양하다.드론은 2000년대 초반에 생겨났다. 처음엔 군사용 무인항공기로 개발했다. 드론이 내는 소리가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와 비슷해서 영어로 수벌을 뜻하는 드론이라고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강원도 속초의 기상청 관측소에서 처음으로 인공 지진파를 감지했다. 1분 4초 뒤에는 서울에서, 2분 뒤에는 제주도에서도 지진파를 확인했다. 비슷한 시각, CTBTO도 36개 관측소에서 지진파를 관측했다. CTBTO는 건설 계획 중인 것을 포함해 전세계에 170개의 지진파 관측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전날 있었던 북한의 핵실험 발표 때문인지 황용석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바빠 보였다. “저는 핵융합 전공인데, 다들 핵분열 반응에 대해 묻네요. 핵폭탄의 이미지가 너무 강하다 보니 핵공학이라고 하면 다들 위험하다고 먼저 생각하는 것이 조금 안타깝습니다.” 취재에 동행한 기자도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됐어요. 또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민욱이 형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진행한 꿀벌탐사가 의미 있다고 생각했죠. 저희 프로젝트의 결론이 ‘도심에 더 많은 꿀벌 정원을 만들어야 한다’니까요.2016년에 지구사랑탐사대가 되려는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 ... ...
이전232233234235236237238239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