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고도가 낮아 익숙하지 않지만 조각실자리와 봉황새자리가 있다. 조각실자리는 프랑스의
천문
학자 라카유가 1751-2년 아프리카 희망봉에 머물며 만든 14개의 남쪽하늘 별자리 중 하나다. 주요 별이 4등성과 5등성으로 이루어져 하늘이 어두운 장소에서만 별자리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그렇다고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같은 정리하기가 쉬운 모양으로 고치려는 데서 그 유래를 연결지을 수도 있겠지만, 한
천문
학자의 개인적인 궁금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처럼 생활과는 별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배적문제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전해진다. 기원전 431년에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 벌어졌던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그래서 지구에는 늘 근심과 굶주림이 가득하다고 생각했다.케플러는 자신이 이룩한
천문
학적 업적에 비해 당대에 이렇다 할 명성을 얻지 못하고 생을 마쳤다. 하지만 그는 이 점에 대해 크게 연연하지 않았을 것이다.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천체의 신성한 조화음을 들은 것만으로도 커다란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르기까지 우리의 사고체계에 무시무시한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몇년 후면
천문
학 교과서는 물론 과학학습대백과의 내용이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바뀔 것이다. 그 모든 것을 우주망원경연구소 웹 사이트에서 실감할 수 있다.4. 오리진스 (www.origins.jpl.nasa.gov)“당신은 밤하늘을 보면서 이 ... ...
1. 주도세력 없는 공백기의 게릴라성 호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뿌리고 사라지는 국지성 호우의 정체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연세대 이태용교수(
천문
대기학과)는 2가지 요인의 합작으로 치고 빠지는 게릴라성 호우의 원인을 분석했다. 그것은 대기의 불안정과 수증기의 공급이다. 경기북부, 지리산지역 등에 내린 국지적 호우는 비구름이 수km의 좁은 범위에 ... ...
과학동아 주최 'SF영화 한마당' 성황리에 마쳐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기울여달라"고 강조했다. 이 강의에서는 달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을 비롯해 다양한
천문
얘기가 쉽고 흥미롭게 다뤄져 눈길을 끌었다.둘째날 주제는 '미래를 화면에서 실현하는 특수효과', 모든 종류의 특수 효과가 실현됐다고 평가받는 영화 '로스트 인 스페이스' 그리고 인간의 내면 세계를 ... ...
내손안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떠오르고 있는 것은 토성입니다.”“정말인가요! 아니 어떻게 금방 알 수 있어요?”
천문
대를 찾은 사람들에게 행성들을 알려 주노라면 자주 받게 되는 질문이다. 알다시피 달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데, 달이 가는 길을 유심히 살펴보면 해가 지나는 길(황도)과 크게 다르지 않다. 행성들을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로 알려져 있다. 역사에 나타난 것은 964년 페르시아
천문
학자 알 수피가 달이 없는 밤에 이 별자리 뉴(ν)별 근처에 ‘작은 구름’이 보인다고 기록한 것이 처음이다. 그 뒤 중세에는 잊혀져 있다가 1612년에 갈릴레이의 경쟁자였던 독일의 관측가 시몬 마리우스가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관측해야 하는
천문
대가 산꼭대기에 위치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물론 고산지대에 있는
천문
대가 있는 것은 대기에 의한 산란을 막기 위함이 더 큰 이유다. 대기층을 통과하기 전 별빛을 관측할 수 있다면 더 좋다. 그래서 허블망원경은 우주 공간에 설치돼 있다.새 깃털이 아름다운 이유비눗방울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성운이 M57이다. 약 2만년 전 성운 중심에 보이는 별이 폭발한 것으로, 크기가 약 3만AU(
천문
단위, 1AU=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나 되지만 2천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망원경 속에서 매우 작아 보인다. 쌍안경으로는 별과 구별하기 어렵지만 8인치 망원경이면 타원형의 속이 빈 고리가 뚜렷하게 보인다.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