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프랜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은 1956년 ‘네이처’에 흥미로운
논문
을 발표했다. 이들은
논문
에서 바이러스를 찍은 X선 회절 이미지와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바탕으로 바이러스의 구조를 추측했다.크릭과 왓슨은 DNA이중나선구조를 예측했던 놀라운 상상력을 이번에도 유감없이 발휘했다. 먼저 ... ...
도시의 전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금부터 60년 전에 우연히 발견된‘도시의 전설’이 있다. 그것을 보통‘지프(Zipf)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어떤 나라의 도시별 인구를 ...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
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2006년 영국 옥스퍼드대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과 공동으로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에서 초거대 블랙홀이 별 형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초거대 블랙홀이 너무 클 경우 물질 유입으로 인한 마찰열 때문에 별 형성에 필요한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고 가스가 사방으로 흩어져 별이 제대로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버들붕어 지느러미에 형광색 점이 있는 이유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하천의 물고기는 평소에는 화려하거나 눈에 띄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물살이 빠른 곳에서는 체형 ... 사진집(환경부 발간) 제작을 주관했으며 ‘팔당호의 어류상’ 등 담수생태계에 관한 다수의
논문
이 있다 ... ...
전자 기술로 널리 이롭게 하리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학회에 72편의
논문
을 발표했다.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논문
들 중 8편은 우수
논문
상을 수상했으며, 산업적 가치가 있는 기술 13건에 대해서는 특허가 출원됐다.연구실에서는 3년간 석사 5명 박사 5명이 배출됐다. 졸업한 선배들은 대학 교수로, 혹은 벤처 기업, 국내 대기업 연구원 및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고립돼 있었다. 독일 본대 고생물학연구소 마틴 샌더 박사는 2006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에서 “당시 해수면 상승으로 섬에 고립된 유로파사우루스의 조상은 먹이가 부족해지자 왜소화 방향으로 급격히 진화했을 것”이라며 “뼈 화석 조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다른 용각류보다 천천히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특정 경우에만 심장이 병적으로 커지는지 이유를 밝히는 것. 김 교수팀이 2008년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 심장비대증 환자는 시스템지도에 나타난 14개의 신호전달 경로 중에서 7개 경로가 정상인과 달랐다. 이는 심장비대증 환자의 경우엔 똑같은 칼슘이 작용해도 단백질과 유전자가 상호작용하는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발표했다. 그해 이
논문
은 가장 많이 내려 받은
논문
과 하이라이트
논문
으로 선정됐다.연구단은 X선현미경으로 금속을 전기도금하는 과정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 결과는 2002년 ‘네이처’에 발표됐다. 당시 연구단은 전기도금 중에 결함이 생기는 원인을 처음으로 밝혀내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교수팀이 세포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한 한 편의
논문
때문이다. 이
논문
은 수년 간 큰 진전이 없었던 줄기세포 연구에 명확한 전환점을 제시했다.야마나카 교수팀은 생쥐의 체세포에 5가지 유전자(Oct3/4, Sox2, c-Myc, Klf4)를 삽입해 발생 초기 단계의 어린 세포로 되돌려 놓았다.생성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정자’를 만드는 과정을 규명하고 ‘네이처’에 발표해 세계 3대 과학저널에 모두
논문
을 싣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쌍둥이 정자를 만들 때 단백질 복합체(SCFFBL17)가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 연구는 식물이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한 차원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