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지적 수학시점] 리그오브 레전드, 맨허튼 거리로 사거리 측정하기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있는 적에게 돌진하며 부딪히는 적을 밀어냅니다. 만약 내 챔피언 중 가장 승부에 영향이 큰 챔피언을 보호하려면 챔피언들의 공격 사거리를 알아야 합니다. 전략적 팀 전투의 게임판은 특이하게 정육각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현재 유저들은 각 캐릭터의 사거리를 ‘칸 수’로 측정하고 있는데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같은 일을 할 때 힘과 거리는 반비례 하거든요. 즉, 하늘색 톱니가 작을수록 더 큰 힘이 필요해요. 대신 조금만 돌려도 물체와 연결된 검은색 톱니바퀴의 체인이 더 많이 회전하지요. 따라서 손잡이가 달린 연두색 톱니의 회전엔 구슬의 무게보다 더 많은 힘이 들지만, 손잡이 를 조금만 돌려도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수 있는 거예요. 연대 측정의 끝판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인 자이언트 세쿼이아의 나이테로 연대를 측정하는 과학자들. Laboratory of Tr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Arizona 유물의 연대를 알아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에요. 1949년 미국 ...
- [과학뉴스] 사람 때문일까? 돌고래도 항생제 내성 피해 본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우스캐롤라이나의대, 콜로라도주립대 등 공동 연구팀은 2003~2015년 큰돌고래 171마리에서 병원체 733개를 분리했다. 여기에는 아에로모나스, 에드워지엘라, 대장균, 비브리오균 등 다양한 병원체가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들의 다중 항생제 내성(MAR) 지수를 계산했다.계산 결과, 병원체 733개 중 88 ... ...
- [10대의약] 수능 보다가 배 아프면 어떡하지 과민성대장증후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먹는지 의아해할 수도 있는데,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의 50%가 심리적인 문제가 큰 만큼 심리 상태가 안정되면 장의 상태도 안정될 수 있습니다.설사 우세형 환자의 경우에는 지사제 중에서 유일하게 장관의 운동성을 감소시키는 로페라미드 성분의 지사제와 설사를 줄여주는 라모세트론 성분의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비유해서 소소하게 보이지만, 금융이나 군사 부문에서 쓰이는 인공지능이라면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겠지요. 수많은 사람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고, 여러 SF가 인공지능의 위협을 경고하는 상황에서는 미래에 인공지능의 반란이 일어나기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초지능을 갖춘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이다. 대기압보다 낮은 환경이 어떻게 느껴졌을까.그는 “10psi가 큰 압력 차가 아니어서 숨쉬기가 불편할 정도는 아니었다”면서 “오히려 그 작은 공간에 실험을 수행하는 딱 두 명의 우주인만 갇혀 있는 것이 좀 어색했다”고 답했다. 그 다운 담백한 대답이었다.사만다는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맹그로브 관찰에 나섰다. 맹그로브는 평소 바다에 잠겨 있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 큰 썰물 때는 밑부분을 드러내는데,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늘어서 자란다. “맹그로브에 너무 가까이 가면 썩은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맹그로브를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다가가는 학생들에게 박 ...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 질문에 “지구 크기의 망원경을 사용했다”고 대답했습니다. 뭐라고요? 대체 그렇게 큰 망원경이 어디 있다는 거죠? 지구 크기의 전파 망원경을 만들어라! EHT 연구팀은 M87*이 내뿜는 전파를 관측하기 위해 안테나 모양의 전파 망원경을 사용했어요. 이때 중요한 것은 가까이 있는 두 물체를 ... ...
-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요. 대신 그만큼 핵융합 반응이 느리게 진행되면 서 오랫동안 빛을 내요. 반대로 질량이 큰 별들은 높은 온도에서 밝은 빛을 뿜지만, 핵융합 반응이 빨리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요. 핵융합 원료인 수소를 금방 다 써버리고 핵융합 반응이 중단되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별의 팽창이 중단돼요. 그러 면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