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코로나19가 잠깐 잠잠했던 어느 더운 여름, 멘토들과 함께 탐험하며 배우는 ‘탐험대학’의 로켓 탐험가들이 서울 혜화역에 모였습니다. 교과서, 뉴스에서나 볼 수 있던 로켓을 직접 만들어보기 위해서였는데요, 그 탐험기를 공개합니다! 첫 번째 미션, 로켓의 배경 지식을 탐험하라! 2020년 7월 18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커지면 새로운 쿼크가 생겨나기도 해요.이처럼 기본 입자들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우리가 평소에 친근하게 접하는 전자기력이나 중력과는 다른 형태의 힘을 연구할 수 있어요. 특히 쿼크가 떠다니는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게 핵물리학자의 과제지요. 이를 위해 전 세계 ... ...
- [에디터노트] 같은 구름 아래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를 통해 독자들의 의견도 미리 들어봤습니다. 클라우드는 앞으로 우리 삶에 더 깊숙이 스며들 겁니다. 항상 곁에 있고, 무슨 일이든 효율성을 높여주고, 내게 필요한 사람과 정보를 연결해주며 말이죠. 문득 과학동아도 독자 여러분들에게 클라우드 같은 존재가 되고 싶다는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바캉스’가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주제로 열렸다. 현재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고 있는 바이러스의 영향으로부터 사이언스 바캉스도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작년까지 수백 명이 참여하는 공개 강연 방식으로 진행됐으나, 올해는 8월 22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떨어지는 빗방울을 바깥으로 튕겨내는 거죠. 공기를 분수처럼 사방으로 내뿜는다면 우리가 아는 우산 모양으로 빗방울을 막아낼 수 있을 겁니다.긱블에서 메이커 찬스 님이 나섰습니다. 일단 찬스 님은 킥스타터에 올라왔던 에어 우산과 비슷하게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공기를 강하게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과학이 어우러진 의료·바이오 분야의 전문 변호사로서, 미래에 내가 선택할 결정들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은 확신할 수 없다. 어릴 적 과학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과학자 같은 사회 운동가’ ‘의사 같은 변호사’로서 융합과학자의 길을 열심히 걷고자 한다 ... ...
- 지뢰찾기 필승 전략은?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이렇게 모여준 히어로즈들 정말 고맙다. 컹! 우리는 지긋지긋한 지뢰를 더 밟지 않기 위해 완벽하게 지뢰의 위치를 찾는 법을 알아야 한다. 크엉! 지뢰는 몇 가지 규칙을 만족하는 위치에 있는데, 나는 지난 10년 동안 직접 몸으로 습득하며 지뢰 찾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먼저 내가 분석한 방법부터 ...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토끼 프로그래머 말대로 지뢰를 정확하게 찾으려면 하나씩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야. 그런데 이 방법에도 문제가 있어. 지뢰밭이 커 ... 것을 증명하면 모든 ‘P=NP’임을 증명할 수 있는 특별한 NP 완전문제라는 거지. 결국 우리의 생사의 문제는 수학계에 위대한 난제이기도 한 거야 ... ...
- 전세계 지뢰찾기 히어로즈, 모두 모여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다른 게임 세계에서는 지뢰를 어떻게 찾을까? 우리가 아직 모르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있는 건 아닐까? 확인해보자!●윽, 역시나 다른 게임 세계에서도 우 ... 더 좋겠지만, 당장 우리가 지뢰를 잘 찾을 수 있도록 여러분의 전략을 알려주세요. 우리 숲속 동물 세계가 안전해질 수 있게요. 컹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튕긴 음이 정확하게 한 옥타브 차이가 나면 잘 만든 기타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듣기에 조화로운 음악을 만드는 데는 일정한 비율이 항상 쓰인다. 화음이나 화성도 모두 비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조율이라는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것도 음악가가 아닌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였던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