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우리가 알려진 것보다 더 똑똑하고 영리하다고 밝혔답니다.스위스 취리히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인 미카엘 크루젠 박사 연구팀은 오스트레일리아 서쪽 샤크 만에서 ‘남방큰돌고래’떼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것을 발견했어요. 일부 돌고래가 입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통해 열매를 비롯한 자연과학을 소재로 시각 예술을 하게 되셨나요?어렸을 적부터 생물과 예술 과목을 가장 좋아했어요. 10살이 되던 해 아버지께서 빅토리안 브라스 현미경을 선물로 사 주셨는데, 그 덕분에 맨눈으로는 볼 수 없었던 자연과학의 세계에 눈을 뜨게 됐지요. 현미경은 하나의 개체 안에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찾아라오래 사는 생물들의 비법을 ‘훔치는’ 사람들도 있어. 유전자가 모두 해독돼서 생물 연구에 많이 쓰이는 예쁜꼬마선충이 대표적인 예란다. 예쁜꼬마선충은 네 단계의 유충기, 쉽게 말해서 어린이 1~4기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주변 환경에 몸을 맞추지. 그런데 먹이가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표징으로 여겨졌다는 점도 수가 늘어나는 데에 한몫을 했다. 일본의 덧니는 바로 생물과 문화가 어우러져서 진화한 좋은 예다.유럽인 얼굴의 기원 네안데르탈인,축소형 얼굴 플로레스인인도네시아 플로레스에서 발견된 의문의 화석,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일 명 '플로')는 어떨까. 플로는 여자인데,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기회는 여전히 드물다. 그런데 이곳 그레이트 베이신 사막에서만큼은 생태학자, 분자생물학자, 분석화학자 등 다양한 전공의 과학자들이 매년 함께 어울리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던 걸까.필자는 자연 그 자체가 주는 매력에 답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유독 밤샘 실험이 많아, 밤에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학과 교수이고, 그의 딸인 니나 페퍼먼도 수학 모델을 이용해 생물학을 연구하는 전산 생물학자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수학자 집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006년 수상자 테렌스 타오 교수의 집안 또한 대표적인 수학자 집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두 남동생인 트레버 타오와 나이젤 타오까지,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신종일 겁니다."미국 뉴욕주립대 환경및삼림과학과 도날드 스튜어트 교수가 보내온 e메일에는 자신감이 묻어나왔다. 스튜어트 교수는 작년 4월 아마존에서 몸 ...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물 밖으로 뛰어나올 것처럼 생생하다. 거북, 새우, 문어…. 손을 가져다 대면 수생생물 특유의 차가움이 느껴질 것 같다.이런 생동감을 주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생명을 만들 수 있는 연금술? 마녀의 비약? 아니면 스틱스 강물? 아니다. 작가에게 필요한 재료는 오로지 투명한 에폭시 수지와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특히 인간 중심의 ‘종이기주의’를 경계한다. 인간도 생태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다른 생물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조화로운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오북이 추구하는 가치를 엿볼 수 있다.지오북에서는 전공서적과 대중서적을 구분해 출판하지 않는다. 오히려 전문서적은 좀더 쉽게, ...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초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금도 그 분이 누군지 모른다. 소포를 뜯어보니 ‘알기 쉬운 우주 이야기’ ‘재미있는 생물 이야기’ 같은 과학전집이었다. 중학교 때까지 소포는 계속 왔고, 자연스럽게 과학에 빨려 들어갔다. 당연히 이과를 가야 한다고 생각했다.Q 전자공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뭔가.경기고 재학 시절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