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물
은 있어도 물 없이 사는 ‘혐수성’
생물
은 존재하지 않잖아. 그만큼 물은 모든
생물
이 살아가는 데 매우 기본적인 요소인 거지. 물만 충분히 마셔도 공부가 잘 되고 살이 빠진다면 믿을 수 있겠니?두뇌회전이 잘 돼요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암스트롱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몸속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나 없는 바다 한 가운데서 어떻게 방향을 찾아가는지는 여전히 불가사의다. 양자
생물
학의 설명방법은 이렇다. 철새의 눈에 빛이 들어가면 두 개의 라디칼이 쌍으로 만들어진다. 각 라디칼은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하나씩 갖는다. 이 두 홀전자들은 특별한 관계를 형성한다. 전자는 그 자체로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팀은 생후 6개월 된 건강한 영아 43명의 기저귀에서 미
생물
109종을 분리했다. 이 미
생물
들을 분석하던 연구팀은 ‘비피더스균’ 등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 세 종을 발견했다. 유산균이 우리 몸에 좋다고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동물이나 덩치 큰 쪽이 싸움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캐나다 퀸즈대
생물
학과 폴 마틴 연구원이 새들의 싸움을 관찰한 결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틴 연구원은 새 246종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2만3362회 관찰한 결과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까운 종에서는 덩치 큰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부주의 때문에 이들의 행복한 노후생활도 조만간 끝이 날지도 모른다. 1년에 150여 종의
생물
이 사라지고 있는 지구역사상 최악의 멸종사건이 현재 진행중이다. 현재 수많은 파충류들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협약(CITES)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었을까요? 지구에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영혼이 있었을까요? 그렇다면 모든
생물
종의 90% 이상이 사라진 페름기 대멸종 때는 갈 곳 없는 영혼이 지구를 떠돌고 있었어야 합니다. 영혼도 사라졌다가 다시 생긴다? 그렇다면 환생이라고 부를 수 없겠지요.전생 체험은 쇼!제가 너무 억지를 쓴다고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예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1000만 년은 우리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시간이지만
생물
진화로 보면 ‘눈 깜짝할 새’다. 유전자 2개면 정자 만드는 데 충분하다아무리 Y 염색체가 쪼그라들었다고 해도 영영 사라지기까지 할까. Y 염색체에도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능이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
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글로 남기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조장천 교수는 “신종헌터가 역사학자보다 좋은 점은
생물
역사에는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면 수많은
생물
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건지도 모른다.지구 역사 46억 년에서
생물
이 등장한 시기는 지극히 짧다. 짧은 시간 동안
생물
은 어마어마하게 진화했고, 인류도 그 흐름 사이에 끼어있다.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새롭게 생겨나는 염색체와 인류가 가진 시한폭탄이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