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 새로운 패턴을 찾아내면 복잡해 보이는 뇌의 활동도 예측할 수 있다.실제로 포스텍 물리학과 김승환 교수는 카오스 이론으로 뇌를 연구하고 있다. 뇌에서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패턴을 분석해 간질이 일어나는 부위를 찾아내고, 간질 환자의 뇌파를 측정해 발작이 일어나기 전 뇌파에 특이한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뛰어난 천체물리학자! 피노키오의 코를 이용해서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떠올렸지.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냐고? 최근 몇 개월에 걸친 실험 끝에 피노키오의 코가 거짓말의 횟수에 비례해 길이가 늘어난다는 것을 알아냈거든. 즉 피노키오의 코가 달에 닿는 순간까지 거짓말의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검색 결과는 다시 인터넷 회선을 타고 검색창에 뜬다. 이렇게 검색어 하나가 여행하는 물리적 거리는 평균 2400km. 미국 아이오와와 오클라호마,노스캐롤라이나 등 6곳의 데이터센터와 유럽의 핀란드 등 2곳,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 있는 데이터센터 중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고압 물리학의 대가야. 초고압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194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어. 브리지먼은 무아상의 방법으로는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 정도로 강한 압력이 나올 수 없다고 설명해. 즉 무아상의 방법을 이용해 다이아몬드를 만들었다고 주장해온 다른 과학자들이 다 사기를 ...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개념, 용어 모두에서 벗어나 심리학의 새로운 출발을 시도하려고 한다”고 밝히고 있다. 물리학이나 화학에서처럼 독립적인 여러 관찰자들이 동일한 결과를 얻어낸 객관적 관찰만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학에 자연과학의 요소를 불어 넣었다.다시 본론으로, 이론상 팀 버튼의 작품관과 ... ...
- [수학뉴스] 300년 전 뉴턴이 낸 문제, 새로운 해답 나왔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운동하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 대한 해답이었다.그런데 최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대 물리연구소 밀로반 주바코프 박사 팀이 무려 13가지나 되는 새로운 해법을 찾았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밝혀진 3가지 경우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하면서 새로운 운동이 만들어질 때까지 조건을 바꿔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수학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분야를 ‘수치해석’이라고 한다.이처럼 수학자와 물리학자들은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수식을 만든 뒤, 여러 변수들의 값을 다르게 했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해서 자연 현상을 예측하고 있다.돌고래의 공기방울 방정식그런데 돌고래들은 사냥을 할 때도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국왕이 큰 상금을 내걸고 해결을 촉구하던 에 ‘혼돈적 결정’이라는 물리학적 개념을 창안해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는데, 이게 혼돈이론으로 발전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당시 프랑스에서 존경받던 직업인 광산개발 기술자이기도 했던 그는, 나중에 국립광산개발국의 총책임자가 ...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근접한다는 열역학 제3법칙을 발표했고, 이 공로로 19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 발터 네른스트의 취미는 농장 가꾸기였어. 동부 프로이센 지역에 수백만 평의 부지를 사서 소와 잉어를 키우고 농사를 했지. 평범한 취미 생활일지 모르겠지만, 네른스트는 농장을 과학자답게(?)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대부분의 로켓이 군사용이었지만, 이런 분위기는 1957~1958년에 이뤄진 ‘국제 지구물리의 해(IGY)’라는 프로젝트를 계기로 바뀌었다. 냉전으로 한참 동안 교류하지 못하던 동방과 서방의 과학자들이 오랜만에 모여 함께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던 기회로, 67개국이 참여했다.연구 주제는 오로라, 우주선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