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d라이브러리
"
단위
"(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마이크로 머신의 개발이 시작되었다.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회로를 새기기 위한 마이크로
단위
의 미세 가공기술이 마이크로 머신의 부품인 극소형 모터나 기어를 제작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그런데 정보화 혁명을 몰고온 IC는 이제 곧 성숙기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며 그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되면 자동적으로 저장이 되는 방법이다. 저장간격 명령을 내리고 자동 저장의 시간을 초
단위
로 정해주면 컴퓨터는 사용자가 타자를 하다가 지정된 시간만큼 키 입력을 하지 않을 때마다 작업내용을 저장한다.프로 기사들이 바둑을 둘 때 옆에서 초읽기를 하듯이, 컴퓨터에서도 초읽기가 이루어진다.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비율은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유기분자가 높다. 예를 들면 아데닌과 티민이 결합된 한
단위
의 크기는 약 11.1옹스트롬(${10}^{-8}$cm)이고 그 사이는 수소결합으로 인해 2옹스트롬 정도의 간극이 있다. 따라서 개개 염기산의 크기는 4옹스트롬 정도가 된다니 그 집적도는 우리 상상을 상회한다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앞서 1985년 이 대학 분자전자연구소의 로버트 버지교수는 BP분자가 빛의 가장 적은
단위
인 광자 두개에 대해서 이성화(異性化, 어떤 화합물의 원자나 원자단의 배열을 바꾸어서 이성체 관계에 있는 다른 화합물로 바꾸는 것)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버지교수는 레이저를 한꺼번에 두 방향에서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역시 확인을 해오는데 C를 선택하거나〈엔터〉를 누르면 된다.편집(edit)-파일을 바이트
단위
로 편집할 수 있으며 아스키 파일을 만들 수도 있다. 특히 프로그래머들이 많이 사용하는데 해당 파일의 정보가 16진수로 나타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autoexec.bat파일이나 config.sys파일도 생성이 가능한데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정한다.(1/864)×(f/100)²×(카메라가 지정하는 셔터 스피드)여기서 f는 렌즈의 초점길이를 ㎜
단위
로 잰 값이다.1000㎜ 망원렌즈로 태양 흑점 사진을 찍으려고 카메라의 노출을 보았더니 1/30초가 나왔다고 하면 위 공식에서 F에 1000을 대입하고 셔터스피드에 1/30을 대입하면 1/259초의 셔터스피드가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줄바꿈되기는 하지만 앞의 단어를 삭제하더라도 뒷줄의 내용이 딸려 올라가지 않는 라인
단위
처리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한동안 문제거리가 되기도 했다. 요즘 사용되는 워드프로세서들은 거의 모두가 문단 개념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문단개념을 익히는 것이 좋겠다.[4] 인쇄 - 이음줄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접근하기 어려웠던 마음의 여러 복잡한 현상도 그 근저에는 비교적 단순한 기본
단위
가 자리잡고 있는지도 모른다. 더구나 컴퓨터 기술 및 새로운 정보이론이 발달하면서 부분적으로나마 사람 마음의 움직임까지 흉내낼 수 있게 되자, 마음을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로 보는 시각이 점차 신빙성을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문장의 통사 구조를 찾아내는 통사적 파싱이 있는가 하면, 단어 내의 더 작은 의미
단위
인 형태소를 구분해 궁극적으로 단어의 구조를 밝혀 내는 형태적 파싱도 있다.형태적 파싱은 영어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어의 형태 변화가 단순한 언어에 비해 우리말과 같이 형태소가 발달된 언어의 파싱에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진동수는 100Hz가 된다. 소리의 크기는 기압변화들의 평균크기, 즉 평균진폭에 비례하며
단위
는 dB을 사용한다. 같은 높이의 소리라도 어떤 배음이 강조되느냐에 따라 소리의 질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같은 높이의 피아노소리와 첼로소리는 그 음질이 다르다.음향분석기(sound spectrography)는 1940년대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