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박의 비밀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들어갈 수만 있다면, DNA 그 자체는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가정에 의하면 어떤 단위, 예를 들면 기관 세포 또는 분자라도 어떤 최적의 환경에서 성장과 자기복제를 할 수 있거나 직접 단백질 합성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다.호박에 관한 것 중 필자가 즐기는 이야기는 아직 DNA에 ...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뇌를 모델로 한 컴퓨터가 만들어지려 하고 있다. 뉴로 컴퓨터(neuro computer, 신경의 기본 단위를 neuron이라 한다)라고 일컬어지는데 미국과 일본이 개발경쟁을 벌이고 있다. 종래의 디지털 컴퓨터는 정확한 프로그램을 부여받기만 하면 순서에 따라 맹렬한 속도로 계산을 한다. 이에 비하여 뉴로 ...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과학동아 l1993년 07호
- ■ 소행성 에로스 지구에 접근이달 26일 433번 소행성인 에로스가 지구로부터 약 0.76천문단위(AU, 1AU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 약 1억5천만km)까지 접근하게 된다. 이때의 밝기는 11.6등급이고 염소자리를 이동해 간다.소행성은 아마추어 망원경에서 단지 희미한 별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음에도 ... ...
-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환자에게 수혈할 수 있다.우리나라 혈액관리법은 1회 채혈량을 3백20ml와 4백ml 두가지 단위로 정하고 있다. 이렇게 건강인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자체를 전혈(whole blood)이라고 한다. 단시간내에 대량의 출혈이 있는 환자 등 특별한 경우 외에는 전혈수혈(whole blood transfusion)은 시행하지 않는다.전혈은 ... ...
- (3) 보석감정 어떻게 하나과학동아 l1993년 07호
- 99의 순금을 24K로 표시하는 것이 바로 캐럽에서 유래한 것이다.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재는 단위 캐럿(ct)의 유래 역시 이 식물의 열매다. 마른 캐럽 한 알의 무게는 대략 2백mg으로, 오늘날 다이아몬드 1캐랫의 중량과 같다. 나라와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던 다이아몬드 도량형은 1907년 제4회 국제 ...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사람도 엄연히 생태계의 평형을 구성하는 하나의 동물이기 때문이다.그래서 생명의 단위를 개개의 생명체로 보지 않고 태양-지구계에 유일한 생명인 '지구상의 우주적 생명'(global life on earth)으로 거시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에너지의 흐름이라는 입장에서 보면 사람도 ...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피질과 내층인 수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nephron)은 피질로부터 수질쪽으로 배열돼 있다. 한쪽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네프론은 신소체(말피기소체라고도 한다)와 세뇨관으로 되어 있으며, 신소체는 ...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평균거리를 1억 4천9백59만 7천6백70 km로 확정,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 길이를 1천문단위 (1AU)라고 부른다.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와 태양의 시반경으로 태양의 반지름을 구하여 보면, 그 값은 약69만6천 km다. 이는 지구의 약 1백9배이며, 부피로는 1백30만 배나 된다. 지구에서 태양까지는 빛의 속도(3 ...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물질 화학에서는 물질마다 고유한 양(量), 즉 질량을 숫자로 표시한다. 물질의 기본 단위인 원자와 분자는 질량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진정한 의미의 화학은 물질 세계를 수치화하려는 노력으로부터 출발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물질을 수치화하려는 노력은 주로 18세기 유럽에서 ... ...
- 목성은 정기적으로 먼지를 방출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관측위성인 율리시즈는 1992년 2월 8일 목성에 최접근했는데, 태양으로부터 5.4AU(천문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로 1AU는 1억 5천만km) 지점에서 태양극궤도를 향해 스윙바이했다. 이 기간 동안 목성에서 1AU 이내의 거리에서 위성에 장착된 고성능먼지측정기가 두 종류의 먼지를 관측했다.하나는 초속 2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