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560만 년 전 지중해가 ‘소금사막’ 됐던 이유는 ‘남극해 결빙’
2015.11.10
가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로 두 가설이 모두 맞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지중해가
바다
의 지위를 다시 회복한 것은 그로부터 27만 년 후다. 지중해가 사막으로 변하는 동안 남극해는 다시 해빙기를 맞았다. 해수면이 상승하며 늘어난 바닷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육지였던 지브롤터 해협 지역을 ... ...
로봇 하녀를 발로 차는 건 잔인한 행동일까
2015.11.08
대중의 일독을 권한다.
바다
출판사 제공 ■ 뇌는 윤리적인가(마이클 가자니가 著,
바다
출판사 刊) 사람의 마음을 엿보는 것은 윤리적으로 타당할까.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뇌과학은 심리학과 철학이라는 전통적 학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저자는 일평생 심리학과 뇌과학을 연구해온 ... ...
[삼시세끼 만재도2] 참
바다
유해진의 통발 도전! 된장과 돼지 비계를 좋아하는 문어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5.11.06
☞ [삼시세끼 어촌편2]차승원이 ‘물회’로 만든 우럭의 정체 ☞ [삼시세끼 어촌편2] 참
바다
유해진이 잡고 싶은 돌돔의 정체 ☞ [삼시세끼 어촌편2] 방어 or 부시리 이진욱이 낚은 월척의 정체 ... ...
2095년 식탁에서 홍합 사라진다
2015.11.03
해수 산성화와 수온 상승으로 산호, 굴, 홍합 등 석회질 생물이 멸종할 수 있으며 이는
바다
생태계 먹이사슬을 연쇄적으로 붕괴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에서도 해수 산성화가 패각류의 성장을 30~40% 수준으로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바닷물 1밀리리터(주사위 하나 부피)에는 최대 9억 개의 파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바다
에서는 파지 감염이 매초마다 10의 23승 번이나 일어나고 그 결과 수많은 해양 박테리아가 죽는다. 또 파지에 감염된 박테리아가 파지로부터 독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받을 경우(이를 유전자의 수평이동이라고 ... ...
[토요판 커버스토리]드론, 취미용으로 즐기려면
동아일보
l
2015.11.02
명의 피서객이 모였던 올 7월 30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항공순찰을 하던 드론이
바다
로 추락했다. 다행히 피서객이 없는 해상 2차 통제선 밖으로 떨어져 인명 피해는 없었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드론 2대를 투입해 독성 해파리 출현과 역파도 발생 등 해수욕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구조당국에 ... ...
[삼시세끼 어촌편 2] 방어 or 부시리 이진욱이 낚은 월척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5.10.30
tvN 제공 삼시세끼 어촌편을 꾸준히 봐온 시청자라면 낚시가 얼마나 어려운지 어렴풋이 체감하셨을 듯 합니다. 차줌마 차승원의 요리를 돕기 위해 매일같이 낚 ... ☞ [삼시세끼 어촌편2]차승원이 ‘물회’로 만든 우럭의 정체 ☞ [삼시세끼 어촌편2] 참
바다
유해진이 잡고 싶은 돌돔의 정체 ... ...
맛있는 ‘대구뽈찜’ 이제 못 먹나
2015.10.30
바다
는 수온이 전 세계 평균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지역이다. 지난 20년 간 동해
바다
의 수온은 약 0.8도 올라 세계 평균값보다 4배나 빠르게 상승했다. 때문에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 꽁치, 정어리 등의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수 차례 보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 ...
명태가 사라졌다?! 新
바다
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29
붙어 사는 초식성 고둥. 무침이나 국으로 요리해 먹는다. 거북손 바위 틈에 주로 사는
바다
생물이다. 삶으면 껍질 안에 있던 하얀 속살이 나온다. 주로 이 속살을 초장이나 참기름에 무쳐 먹는다. 거북손 - 나무위키 제공 ● 동해 밥상 개복치 경북 해안지역에서는 삶은 개복치가 잔칫상이나 ... ...
고향으로 돌아가는 푸른
바다
거북
동아일보
l
2015.10.29
통해
바다
로 돌아가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부산 아쿠아리움은 푸른
바다
거북의 이동 경로와 서식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 추적 장치를 부착했다. 부산=서영수 기자 kuki@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