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성질을 이해했다.감염 질환에 걸린 환자를 진단할 때도 마찬가지 방법을 썼다. 하지만 자연계 미생물의 극히 일부분(경우에 따라서는 0.1% 이하)만 인공배양이 가능하다. 흙 한줌, 바닷물 한 숟가락, 폐렴 환자의 침 한 방울, 이런 시료에 있는 미생물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배양 없이 미생물을 ... ...
- 인간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때도 있다. 때로는 인간보다 인간다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플래치는 “이렇게 부자연스럽게 인간다운 모습이라는 비현실적인 이미지를 통해 오히려 보는 이로 하여금 현실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고 의도를 설명했다. 아래 원숭이의 사진에서, 그리고 뒷장부터 이어질 사진에서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보면 왼손·오른손잡이는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새로운 능력을 습득함에 따라 자연스레 발생했다고 이해된다. 물론 왼손잡이에 대한 연구는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유전적인 것인지, 환경적인 것인지 따지는 수많은 가설이 있고, 가설을 증명하려는 연구도 그만큼 많다. 특히 두뇌 발달과 ...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달라 질량이 차이 나는 원소를 말한다. 방사성 동위원소는 자연에도 약 50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은 인공적으로 핵반응을 일으켜 만든다. 정 부장은 “하나로는 120가지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할 능력이 있으며, 이들은 산업과 의료용으로 폭넓게 쓰인다”고 설명했다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그래서 지구 곳곳에서 이상 고온현상이 나타나거나, 홍수나 가뭄과 같은 원인 모를 자연 재해가 빈번하게 일어난다.과학자들은 수년 전부터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바다에 선박, 땅 위에 탐사기지, 우주에 인공위성을 띄우는 등 과학기술을 총 동원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자료를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ø또는 { }로 표시한다. 원소가 있는 집합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1부터 10까지의 자연수 중 짝수들의 모임’과 같이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있는 집합은 ‘유한 집합’이라고 한다.한편 무한 호텔처럼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없는 집합은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유리수 전체의 모임’ ‘실수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불과하다.로메스버그 박사는 2012년 11월 ‘네이처’에서 “우리의 최고 성과가 이제 자연의 가장 못난 성과에 근접했다”고 말했다.그런데 이런 연구는 왜 하고 있을까.새로운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다. 새로운 재료나 치료제를 만들려면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말아야 한다.목표 조직이나 기관에 ... ...
- 2013 지구사랑 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춘! 뚱야! 어디 숨었니? 아차, 얘들을 찾는 방법은 따로있지…. 추운~! 뚜웅야~! 밥 먹자~, 밥! 엥? 정말 집에없나 보네. 날이 이렇게 추운데 도대체 어디 간 거야?앗, 저 풀 사이로 보이는 질펀한 뒤태는? 춘, 춘아~!쉿! 조용히…. 이 소리를 잘 들어 보라고. 수원청개구리의 울음소리야. 보통 청개구리는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비늘보다 안에 있는 몸통이 먼저 커지는 것이다. 그 결과 비늘은 자연스럽게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나선형으로 자라게 된다. 만약 비늘이 일자로 곧게 생기면 뱀이 비늘을 빠져나오기 힘들어 군데군데 구멍을 내야 한다. 하지만 나선형인 덕분에 한꺼번에 몸을 바깥으로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각각의 값을 넣으면 구할 수 있죠.인구균형방정식미래의 인구수 = 기준인구 + 1년간 자연증가(출생아수-사망자수) + 1년간 사회증가(입국자수-출국자수)최근에는 출산율 저하로 태어나는 아기의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령 인구는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로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