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정성이 필요하다고 한 것이다. 혹시 이 때문에 “채식은 역시 지속가능하지 않고 부
자연
스러운 식생활이다”라고 생각한다면 다시 생각해보자. 방금 한 조언 가운데 육식인에게도 똑같이 해당되지 않는 조언은 없으니까. ‘건강한 육식인’이 되는 방법과 ‘건강한 채식인’이 되는 방법은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역사다.하지만 과학이라는 학문의 역사는 또 안 된다. 지루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럼?
자연
의 역사를 말하면 된다. 우주의 탄생, 태양의 성장, 별의 운명! 문제는 이런 분야는 너무나 넓기 때문에 한 사람이 상세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이미 좋은 책이 많이 나와 있어 새로운 책이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남’을 위해 목숨을 걸기도 합니다. 원숭이에겐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
자연
의 세계에서는 보기 힘든 일이니까요.180만 년 전부터 남을 도운 인류인류는 언제부터 이런 특이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을까요. 우선 멸종한 친척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에게도 이런 흔적이 보입니다. 20세기 ... ...
세트형 문항이 수학점수 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때문이다. 국어 과목에서 고전하는
자연
계 수험생은 국어 과목 공부 부담이 줄어든다.
자연
계 상위권 대학에서도 국어-영어-수학의 조합을 A형-B형-B형으로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문제 내용도 달라진다. 수학은 대체로 수리(가)형과 수리(나)형에서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분석한다. 주목할 것은 작년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멀티로터 무인기는 현재 지름 1m급 크기의 무인기들이 개발돼 항공사진 촬영용이나 뉴스,
자연
다큐멘터리 촬영용으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다수 편대 비행도 연구되고 있다.최근에는 4개 이상의 로터가 달리고, 크기가 1m가 안 되는 초소형 무인기가 독일, 프랑스, 중국 등에서 개발돼 각광받고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기인한 유전자로 생식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으로는 절대 보유할 수 없는 유전자다.
자연
생태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외래종으로부터 수입한 이질적 유전자들을 대량 보유한다는 사실은 박테리아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질을 바꿔나갈 수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정 사무처장의 말처럼 당위성만으로
자연
환경을 지키려는 시대는 어쩌면 이제 끝났는지도 모른다. 당위성만으로 지역주민들을 옭아매는 것은 폭력적일 수 있다. 그런데 경제적 가치만으로 환경을 지킬지 말지를 선택하는 것 또한 가혹한 일이란 ... ...
용의자 X의 수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도 모르지만 도전하면서 새로운 길을 만들어 나간다. 또 아름다운
자연
을 즐기다가 동무도 만나게 된다. 정상을 목표로 산행을 시작했지만 모든 이가 정상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산행이 의미가 없는 일도 아니다.수학적인 이론을 세우는 것도 이런 것이다. 정상을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ø또는 { }로 표시한다. 원소가 있는 집합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1부터 10까지의
자연
수 중 짝수들의 모임’과 같이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있는 집합은 ‘유한 집합’이라고 한다.한편 무한 호텔처럼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없는 집합은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유리수 전체의 모임’ ‘실수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비늘보다 안에 있는 몸통이 먼저 커지는 것이다. 그 결과 비늘은
자연
스럽게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나선형으로 자라게 된다. 만약 비늘이 일자로 곧게 생기면 뱀이 비늘을 빠져나오기 힘들어 군데군데 구멍을 내야 한다. 하지만 나선형인 덕분에 한꺼번에 몸을 바깥으로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