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장마 기간이 시작됐어요. 종일 비가 내리자 섭섭박사님은 밖에 나가지 않고도 재밌게 노는 방법을 생각해 봤지요. 그러다 재밌는 사격 놀이가 떠올랐어요 ... “수업에 참여하기 전에는 과녁과 아이팝콘이 어떻게 연관되는지궁금했었는데 가속도를
이용
한다는 점이 신기하다”고 말했지요 ... ...
기생충의 기상천외 생존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용어정리*중간숙주 : 기생충이 번식을 할 수 없는 숙주. 기생충이 종숙주까지 가기 위해
이용
하는 생물을 말한다.*종숙주 : 기생충이 번식을 할 수 있는 숙주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보세요. 식물 미로 실험 키트에는 갈색 플라스틱 판이 여러 개 들어있어요. 이 판을
이용
해 나만의 식물 미로를 만들고 맨 아래층 흙에서 새싹을 틔워 보세요. 그러면 내가 만든 미로를 요리조리 피해가는 구불구불한 식물을 키워볼 수 있답니다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런 일을 겪으면 다시는 이곳에서 노상방뇨를 하지 않겠죠? 모기도 초소수성을
이용
해요. 2015년,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모기의 머리와 날개가 초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빗속에서 비행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빗방울은 모기보다 질량이 50배나 커요. 비행을 하던 모기가 ... ...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수 있는 접착제가 개발됐다. 일본 홋카이도대 연구팀은 정전기적 상호작용 원리를
이용
해 바닷물 속에서도 고체에 달라붙을 수 있는 하이드로겔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2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고분자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11월 18일자에 공개했다.카시니호는 토성의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이용
해 타이탄의 표면을 관측했다. 레이더로 관측하지 못한 지역은 카시니호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지도작성 분광기(VIMS)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타이탄의 전체 지도를 재구성했고,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받은 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으로 채용됐다. 윤 교수는 “얼굴에서는 홍채를
이용
한 생체인증 기술이 발달했는데, 미세혈관에 의한 피부 변화로 심박수를 알 수도 있다”며 “얼굴의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향후 더욱 안전한 생체인증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요소로도 기계나 시스템을 망가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 예로 소리를
이용
해 드론을 추락시킨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에서 정상적으로 비행하던 드론은 작은 소리가 들리자 갑자기 땅으로 곤두박질쳤다. 드론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인 자이로스코프가 망가진 것이다. 김 교수는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1단뿐만 아니라 GTV까지 공급받기로 추가 계약을 맺은 덕분이었다. 우리 연구팀은 GTV를
이용
해 러시아의 발사체 공장에서 한국의 나로우주센터까지 발사체가 육로와 해로, 항공로를 통해 어떻게 이송되는지 검증했다. 2009년 4월부터는 본격적인 발사 진행 시나리오를 세웠다. GTV를 발사대에 연계하는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있을 때 세포는 어떻게 대화할까요? 최근 김재경 KAIST수리과학과 교수팀이 수학 모형을
이용
해 세포가 넓은 공간에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넓은 공간에서 세포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기적으로 신호전달물질을 내뿜도록 만든 단세포 세균을 멀리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