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볼 수 있는 기회는 가장 드물다.밤하늘에서 행성을 관측하려면 행성이 태양에서
최대
한 많이 떨어져 지구에 가깝게 있어야 한다. 행성이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태양에 가깝게 붙기 때문에 낮에 행성이 등장하거나 밤에 나타나더라도 태양빛을 반사하는 면이 줄어들어 그다지 밝지 않기 때문이다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포천중문의대 정형민 교수의 목소리는 아직도 떨리고 있었다. 정 교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줄기세포연구소인 포천중문의대 부설 줄기세포치료연구센터 소장을 겸직하고 있다. 정 교수팀의 논문을 게재하기로 한 저널은 ‘서큘레이션’(Circulation). 심혈관계 분야의 최고 권위지이지만 ‘눈물이 핑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낮은 수심은 미크로네시아 바다를 산호초 군락지로 만들었다. 산호초는 해양 생물의
최대
서식지다. 주변 해역에선 어류 4000종과 무척추동물과 조류 100만 종이 어울려 살아간다. 바다 생물의 집합소인 셈이다. 산호초 수호하는 ‘맹그로브’ 미크로네시아가 해양 생물의 천국이 된 이유가 뭘까.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유입되는 물의 양으로 빗물의 총량에서 증발한 양을 빼면 된다 우리나라의 사용가능한
최대
량은 1년에 7백31억㎥ 정도로, 이 중 2백60억㎥을 취수해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 스트레스 지표는 356%다척색동물문, 척추동물아문 포유강의 한 목을 이루는 동물로, 태반이 없는 대신 주머니를 달고 있어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배출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개인의 탄소발자국도 상당히 큰 셈이다.지난 1월 영국
최대
유통업체인 테스코는 자사가 판매하는 상품 7만점에 가격표와 칼로리표 외에 탄소발자국표도 함께 붙이겠다고 발표했다.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의도다. 이에 맞춰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항복점 이상으로 증가시켜 가면 결국 재료는 파괴된다 이와 같이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최대
인장응력값을 인장강도라 한다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특정값으로 중요시하여 왔다 한편 재료에 압축력을 가했을 때의 파괴강도를 압축강도라 한다경입자족(輕粒子族)의 하나 π중간자 및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지명도를 쌓았다. 싸이월드의 성공에 힘입어 미국에는 ‘마이스페이스’란 이름의 세계
최대
SNS 사이트가 생겼는데, 최근 가입자가 2억명을 돌파했다.그러나 SNS 사이트도 변화에 직면했다. 아이러브스쿨은 과거의 동창을 만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 못하면서 지금은 빛바랜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창설되었다 이 곳에는 산악지대에 자연적으로 생긴 함몰지(陷沒地)를 이용하여 세계
최대
인 지름 300m의 고정구면경(固定球面鏡 ; 전파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1799~1875 독일의 천문학자 1817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 결과 고온에서 웰빙 음료의 내용물을 담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최대
한 줄였고 일반 페트병을 쓸 수 있게 됐다.기체가 드나드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차단하는 페트병도 나왔다. 2003년 효성은 국내 최초로 다층 페트병을 개발해 1.6리터 하이트 맥주병으로 공급하고 있다. 겉모습만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1.0에 가깝다. 사람에 따라 추상세포의 밀도가 32만4000개/㎟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시력은
최대
2.0~2.5 정도라고 추정한다. 산란, 굴절은 시력의 방해요인 빛이 일으키는 산란이나 굴절 현상 때문에 현실적으로 시력은 더 떨어진다. 물체 표면에서 반사된 빛은 공기를 통과하며 산란을 일으킨다.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