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등장했다. 독도 주변의 해류를 연구 중인 이재학 박사는 해저 울릉분지에서 북쪽으로
최대
시속 1km로 흐르는 심층류를 ‘독도심층류’라고 명명했다. 이 해류의 성분을 분석하면 울릉분지 남쪽에 위치한 해양폐기물 투기장에서 어떤 물질이 유출되는지 알 수 있다. 2006~2007년 해양조사로 독도의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실내공간의 크기와 실내 마감재료의 흡음성에 따라 달라진다 잔향시간은 음에너지가
최대
인 상태에서 1백만분의 1만큼의 에너지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것을 음의 세기의 단위로 환산하면 처음 세기에서 60dB만큼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건물을 설계할 때는 실내공간의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큰 최소 7인치의 휴대용 단말기다 기본적으로 640×480에 256컬러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최대
해상도는 1024×1024까지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용 펜으로 화면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해 마치 종이에 글을 쓰듯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를 연결하면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새벽 하늘을 수놓는 별똥별을 바라보며 한해 소원을 빌어보자.● 1월 22일 수성 동방
최대
이각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에서 볼 때 가장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계산했다. 그 결과 습기가 많은 공일수록 멀리 날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그 차이는
최대
60cm에 불과했다. 마이어 교수는 “습기를 머금은 공이 쿠어스필드의 투수방어율이 낮아진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며 “공에 습기가 많아지면 투수가 공을 잡는 방식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연구할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들어 움직임이 없을 때 호흡을 통해 사용되는 산소량을 1Met(=35mL/kg/min)라 정의할 경우
최대
산소섭취량은 중년의 일반인이 10Met, 청소년이 13-15Met다대륙이나 섬 주변에 있는 수심이 얕고(수심 1백-2백m) 경사가 완만한 해저 영양물질이 풍부해 많은 바다 생물이 살기 때문에 좋은 어장을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발사 초기에는 우주센터의 광학추적장비를 이용해 1초당
최대
480장의 사진을 찍는 동시에 발사통제동 옥상에 있는 원격자료수신장비로 발사체의 내부정보 700여 가지를 받는다.발사 25초 뒤 KSLV-Ⅰ이 남쪽으로 방향을 틀자 제주추적소에서도 레이더를 이용해 발사체를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적을 추적해 실시간으로 알려 주니, 내가 있으면 정말 든든하겠지?
최대
36시간까지 날면서 지름1만㎞ 원 안에 있는 지역의 정보를 속속들이 알아 낼 만큼 뛰어나.헤론(이스라엘)이스라엘 공군의 최신형 무인 비행기라면 올해 처음 얼굴을 공개한 나를 꼽을 수 있을 거야. 9㎞ 높이에서 시속 225㎞로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개통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수에즈 운하는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 서쪽에 건설된 세계
최대
의 운하다. 1854년 이집트가 프랑스인 페르디낭 드 레셉스에게 운하 건설을 허가하면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한 동안 영국의 집요한 방해로 곤란을 겪었지만, 나폴레옹 3세의 도움으로 1869년 11월 16일 운하가 ... ...
물먹고 힘내는 휴대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전기를 만들고 이 전기로 휴대전화가 켜지는 거죠. 이 연료전지를 휴대전화에 이용하면
최대
10시간 이상 계속해서 통화를 할 수 있어요. 현재 쓰이는 전지보다 2배나 오래 쓸 수 있죠. 또 휴대전화용 연료전지는 그 동안 메탄올을 원료로 많이 연구했는데 물을 이용하면 폭발하지 않아 더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