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통합과학의 첫 단원은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는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된다. 팽창하는 우주에서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으로부 ... 만들어진 원소들에 의해 이뤄지게 됐다. 별의 탄생과 진화 그리고 소멸 과정을 통해 현재 지구상을 이루는 물질이 생성된 것이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銀河, galaxy)수많은 별들이 모인 집단을 ‘은하’라고 해요. 지구가 있는 태양계도 ‘우리은하’에 속해 있지요. 우리은하가 밤하늘에서 띠 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한답니다. 은하는 ‘은’을 뜻하는 ‘은(銀)’과 물이나 강을 뜻하는 ‘하(河)’가 합쳐진 말이에요. 수많은 별이 모여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지구로 날아온 태양 입자가 대기와 만나 타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오로라의 색은 태양 입자가 어떤 기체와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산소와 부딪힐 경우 붉은 빛을 낸다. 산소가 풍부한 저위도 부근에서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도입이 예고된 고교학점제도 이런 취지의 연장선에 있다. 통합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아니라 과목이 서로 녹아들어 융합적·통합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일정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자랑합니다. 전염병이 발각되면 순식간에 치료제가 개발되거든요. 실제로 천연두는 지구에서 사라진 단 2개의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예방백신은 물론 유전정보인 게놈까지 해독했을 정도로 연구가 되어있죠.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가 있습니다. 수 많은 수학자를 배출한 집안 베르누이가의 ... ...
- [시사과학뉴스] 한파, 강해지고 길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추워진 거예요. 그래서 이를 ‘지구온난화의 역설’이라고 부른답니다. 길어진 추위도 지구온난화 때문!약해진 제트기류 탓에 추운 기간도 길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 상공의 대기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가요. 북극의 찬 공기가 내려왔다고 해도 빠르게 동쪽으로 사라지면 한파는 금방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5월이 되어서야 만들어지지요. 태양은 8월 31일, 지구는 9월 14일에 탄생해요. 오래 전 지구에서 번성했던 공룡은 크리스마스가 되어서야 나타난답니다.현생 인류가 나타난 건 12월 31일, 우주 달력의 마지막 날 밤 11시 52분이에요. 이후 인간은 농사를 짓고 도시를 만들었으며, 우주를 탐험할 수 있을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오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식의 유통기한은 최소 9개월에서 최대 3년이다. 또 지구의 세균이 우주 공간에서 어떤 영향을 줄지 모르기 때문에 완벽한 멸균이 필수다. 수분도 완전히 제거한다. 식량을 오래 보존하는 것은 물론, 발사 중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포장재의 안정성과 ... ...
- 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포항 지진, 왜 피해가 컸을까?이번 지진은 작년 9월 경주에 발생했던 규모 5.8의 지진에 비해서 약했지만, 동네 곳곳에서 건물이 무너지는 등 더 큰 피해를 남겼어요. 왜 그랬을까요? 가장 큰 이유는 ‘진원의 깊이’에 있어요. 지진은 땅 위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 에너지가 흙이나 돌에 흡수되기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