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모듈에 장착됐다. SCD는 ISS에서 진행 중인 ‘크림(CREA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고에너지 입자인 우주선(線)의 성분 분석 역할을 맡는다. 현재 ISS에서 검출한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송신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통합과학의 첫 단원은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는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된다. 팽창하는 우주에서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으로부 ... 만들어진 원소들에 의해 이뤄지게 됐다. 별의 탄생과 진화 그리고 소멸 과정을 통해 현재 지구상을 이루는 물질이 생성된 것이다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하얀 눈밭에서 춤을 추는 두루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뤄져 있어요. 멀리서 보면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지요. 두루미는 국제적인 희귀종으로, 지구상에 약 1만 5000마리 정도만 남아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한강 하구에서도 많이 발견됐지만, 주변 지역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강원도 철원과 비무장지대에서만 볼 수 있지요. 앞으로도 계속 두루미가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도입이 예고된 고교학점제도 이런 취지의 연장선에 있다. 통합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아니라 과목이 서로 녹아들어 융합적·통합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일정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자랑합니다. 전염병이 발각되면 순식간에 치료제가 개발되거든요. 실제로 천연두는 지구에서 사라진 단 2개의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예방백신은 물론 유전정보인 게놈까지 해독했을 정도로 연구가 되어있죠.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가 있습니다. 수 많은 수학자를 배출한 집안 베르누이가의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 ...
- [시사과학뉴스] 한파, 강해지고 길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추워진 거예요. 그래서 이를 ‘지구온난화의 역설’이라고 부른답니다. 길어진 추위도 지구온난화 때문!약해진 제트기류 탓에 추운 기간도 길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 상공의 대기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가요. 북극의 찬 공기가 내려왔다고 해도 빠르게 동쪽으로 사라지면 한파는 금방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지구로 날아온 태양 입자가 대기와 만나 타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오로라의 색은 태양 입자가 어떤 기체와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산소와 부딪힐 경우 붉은 빛을 낸다. 산소가 풍부한 저위도 부근에서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따라서 관측자가 볼 때 태양이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인 ‘1태양일’이 지나려면 지구는 공전한 만큼 더 자전해야 한다. 공전 속도가 매일 다르므로 1태양일도 변한다. 우리는 편의를 위해 1태양일을 1년에 걸쳐 평균을 낸 ‘평균 태양시’를 쓴다. 균시차는 실제 태양의 위치로 잰 시각인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스마트폰 GPS 정보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정보가 잘 맞는 것으로 밝혀졌지요. ●GPS :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 인공위성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cm 단위까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으로 지진을 감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지진관측소를 세울 수 없는 가난한 나라에서도 지진에 대비할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