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환경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아직 흡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거든요. 여하간 저를 포함한
연구자
들의 더 큰 노력이 가장 중요하겠지요.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처진 부분이 더 많은 상황에서 우리는 당연히 일본의 것을 보고 배워야 합니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녜요. 우리가 ... ...
생명체 보존 위해 세포가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병적인 세포의 죽음과 구별하여 '프로그램 세포사'(programmed cell death)라 불렀다. 지금
연구자
들 사이에는 '프로그램 세포사'와 아포토시스의 차이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비슷한 것으로, 한쪽에서는 서로 다른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그렇다면 왜 많은 의학자들이 아포토시스에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들은 천문학자들 뿐만 아니라 물리학자 화학자 등 여러분야의
연구자
들이 협력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인류의 우주에 대한 이해를 크게 증진시키기 위해 앞으로도 더욱 많은 협력이 기대된다 ... ...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상식이 맞아 떨어지지 않았다. 무엇인가가 암석표면에 막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연구자
들은 생각했다.조사 결과 암석표면에는 박테리아가 무수하게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신비로운 '물에 뜨는 돌'은 무수한 박테리아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또 박테리아는 그 생화학적인 활동에 의해 석회암을 ... ...
인간 눈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가까운 장래에 생체눈의 개발이 완료될 것 같지는 않지만,
연구자
들은 "아름다움은 주목하는 자의 눈에 띄게 된다"는 생각을 갖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생체눈 등 생체기관을 인공적으로 만들게 되면 뉴럴컴퓨터 연구 성과에 따라 스스로 보고 판단하는 로봇이 등장할 수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강창원 교수 등이 개인 단위로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은 지난 90년 4월 13일 국내
연구자
의 모임인 한국인체유전자연구회를 결성하기도 했다.그러나 이 게놈 연구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선진국의 경우, 연구성과에 특허를 신청할 예정이어서 정보 독점의 우려를 낳고 있다고 한다."사람의 ... ...
메탄올 식물 성장제로 큰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또한 옥수수처럼 충분한 광합성을 일으키는 식물에게도 도움보다는 해가 더 컸다.두
연구자
역시 메탄올 희석액을 식물에 주려면 정밀한 양의 메탄올을 다른 영양제와 함께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의 사용은 좀더 시간을 두어야 한다고 충고했다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경우는 보다 더 복합적이고 어려운 난제들과 싸워야 한다. 현재 많은 마이크로 머신
연구자
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마이크로(micro)영역, 더 나아가 앞으로 전개될 나노(nano)영역의 미시적 세계에서는 현재 모든 기계 메커니즘의 무대가 되고 있는 거대세계와는 완전히 그 물리적 ... ...
「헌팅톤 무도병」 유전자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현재 3만여명이 이 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됐으며 유전될 확률은 50% 정도로 알려졌다.
연구자
들은 인간의 세포에 있는 23쌍의 염색체중 4번 염색체의 윗부분에 달려있는 DNA 조각에서 무도병의 단서가 되는 표시를 찾아냈다. 유전자의 위치를 발견한 다음 단계의 연구는 이 유전자가 어떤 방식으로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세번째 목표를, 즉 인간의 감각을 기계에게 고스란히 옮기기 위해서 출현했다. 비록 각
연구자
의 머리에 새겨진 미래의 바이오 컴퓨터 그림은 모두 다르겠지만.바이오컴퓨터가 널리 쓰이게 된다면 그 맛있는 칩의 속살을 먹기 위해서 새로운 종의 기생충이 컴퓨터 속으로 몰려들지도 모른다. 또는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