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산기지에 다녀왔다. ‘21C 다산 주니어’라고 불리는 이들 북극청소년연구단은 극지연구소가 엄격한 과정을 거쳐 선발한 세 명의 청소년과, 한국극지연구진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한 제4, 5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에서 특별상을 받은 두 명의 청소년으로 구성됐다.이들의 여정은 ...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여부를 알 수 있으리라고 보고 연구를 계속해 왔다. 최근 그 결과가 나왔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연구진은 양성자 충돌 실험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닥 쿼크가 정확히 표준모형에서 예측하는 대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초대칭이론이 필요 없다는 뜻이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민지 산업체나 기업과 함께 진행하고 계신 연구도 있나요?김현진: 현재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게 생체모방연구를 하고 있어요. 새를 보면 가만히 떠있을 때도 날개를 움직여요. 펄럭이기도 하고 날개 끝단을 움직이기도 하고. 공기의 흐름을 읽는 겁니다. 비행체도 이런 새의 움직임을 적용시킨다면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암은 후성유전학이 가장 처음으로 도전할 질병치료 분야다. 1983년에 미국 존스홉킨스대 앤드류 페인버그 교수는 인간 암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 정도가 정상세포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암과 후성유전학의 관련성이 처음으로 입증된 것이다. 최근에는 국제암유전체연구단이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7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APL)에서 뉴호라이즌 호의 최근접점 통과 순간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했다. 현장에 모인 연구원들은 다 함께 카운트다운을 셌다. 그리고 오전 7시 49분 57초(현지 시각), 드디어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을 빠르게 ...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입자’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 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펜타쿼크(pentaquark)’라는 새로운 종류의 입자가 발견됐다. 보통 입자들은 2개나 3개의 쿼크로 구성된다.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나 중성자 같은 중입자(baryon)는 3개의 쿼크로, 파이온과 케이온 등 중간자(meson)는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해상도가 더 높은 MRI를 개발하고 있답니다.뇌 활용 연구소아픈 뇌 치료하고, 뇌와 닮은 기계 만든다!뇌지도를 만들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구만! 가까운 미래에 뇌지도가 완성된다고 생각하니 정말 신나~! 그런데 잠깐! 만약 우리 뇌에 대한 비밀이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때문이다. 그가 제안한 안테나는 지름이 30m 정도 되는 접시 모양의 안테나였다. 하지만 벨연구소 경영진이 판단하기에 잰스키가 궁금해 하는 미세한 잡음은 국제전화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경영진은 그의 제안을 거절했고, 결국 잰스키는 1935년 이 분야를 떠났다.잰스키는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으로 조사됐다.잘못된 색 선택은 오히려 식욕을 깎아 내린다. 미국 코넬대 식품 브랜드 연구소 연구팀이 2012년 성인 60명을 조사한 결과, 음식과 음식을 담은 그릇의 색이 대조적이면 동일한 색 그릇에 담겼을 때보다 음식을 20% 가량 적게 먹는다는 연구가 있다. 그릇에 담긴 음식 양이 부각돼 먹는 ... ...
- 피가 둥둥…, 우주에서 수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국제 공동 의료진이 직접 실험에 나섰다.미국과 캐나다 의료진은 6월 26일 캐나다 국립연구소의 팰콘20 제트기를 타고 ‘컷 슈트(Cut Suit)’라는 이름의 환자모형을 수술했다. 제트기가 포물선으로 비행하는 30초 동안 내부는 무중력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우수술에 나선 것이다. 의료진은 환부에서 강한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