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맞다는 거잖아요.기: 끝까지 들어봐요. GDF11에 대해 연구하던 미국 노바티스 생명의학연구소 데이비드 글래스 박사팀은 웨이저스 교수팀의 결과를 보고 ‘우리가 실험 과정에서 빠뜨린 게 있나?’라고 고민했다고 해요.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것과 정반대의 결과였으니까요. 다시 연구에 착수한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있을지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의문을 가져왔다. 그런데 이탈리아 국립천문학연구소(INAF)팀이 태양계 밖에서 해답을 찾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지구는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도 살아남긴 한다.연구팀이 주목한 건 지구에서 4570광년 떨어진 페가수스자리의 백색왜성 V391 Peg이다. 연구팀은 이 ... ...
- [과학뉴스] 목성 표면을 ‘둥둥’ 신개념 탐사선 아이디어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는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을 타고 하늘을 떠다닐 수 있는 목성 탐사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기체로만 가득 차 있는 목성을 탐사하기 위해선 공중에 장기간 떠 있을 수 있는 탐사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온·고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는 목성 표면에서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퍼진다. 하지만 암컷 매미는 진동막도 없고 뱃속은 알로 가득 차 있다.미국 쿠란트수학연구소의 에스테반 타바크 박사팀은 매미의 진동막에 붙어 있는 발음근의 길이와 진동막이 떨릴 때 원래 달려 있던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 그리고 진동수를 고려해 매미 울음소리에 대한 수학모델을 만들었다.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7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APL)에서 뉴호라이즌 호의 최근접점 통과 순간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했다. 현장에 모인 연구원들은 다 함께 카운트다운을 셌다. 그리고 오전 7시 49분 57초(현지 시각), 드디어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을 빠르게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문화재를 다룰 땐 반드시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물질을 써야 한다”며 “현재 사용하는 복원 방법은 최선의 방법이기는 하지만 최후의 방법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어느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더 많을 것이란 얘기다. 지구형 행성은 수십 억 개호주국립대(ANU)와 코펜하겐 닐스보어연구소의 공동 연구팀은 외계행성에 관한 NASA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은하 전체에서 생존권역에 속한 행성의 개수는 몇 개일지 계산했다. 이들은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을 외계 항성계에 적용했다.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으로 조사됐다.잘못된 색 선택은 오히려 식욕을 깎아 내린다. 미국 코넬대 식품 브랜드 연구소 연구팀이 2012년 성인 60명을 조사한 결과, 음식과 음식을 담은 그릇의 색이 대조적이면 동일한 색 그릇에 담겼을 때보다 음식을 20% 가량 적게 먹는다는 연구가 있다. 그릇에 담긴 음식 양이 부각돼 먹는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해상도가 더 높은 MRI를 개발하고 있답니다.뇌 활용 연구소아픈 뇌 치료하고, 뇌와 닮은 기계 만든다!뇌지도를 만들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구만! 가까운 미래에 뇌지도가 완성된다고 생각하니 정말 신나~! 그런데 잠깐! 만약 우리 뇌에 대한 비밀이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때문이다. 그가 제안한 안테나는 지름이 30m 정도 되는 접시 모양의 안테나였다. 하지만 벨연구소 경영진이 판단하기에 잰스키가 궁금해 하는 미세한 잡음은 국제전화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경영진은 그의 제안을 거절했고, 결국 잰스키는 1935년 이 분야를 떠났다.잰스키는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