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한 직접적인 공격을 피해 스스로를 지키는 현상이 관용(Tolerance)이다.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의 자넬레 에리스 교수와 스탠퍼드대의 데이비드 슈나이더 교수는 식물 생태학에서 쓰이던 저항과 관용이란 개념을 동물의 감염병에 처음 적용했다. 이들이 2008년 ‘네이처 리뷰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문학상 : 무전 세계에 통하는 말, 바로 “응(Huh)?”이다. 네덜란드 막스플랑크 심리언어학 연구소의 마르크 딩게만세 연구원은 ‘응?’의 발음이나 기능이 전세계적으로 매우 유사하다고 ‘플로스원’에 밝혔다.경영학상 : 경영을 잘하는 CEO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학연도 지연도 아닌,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5월 12일자에는 마치 셜록을 흉내 낸 것 같은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사이먼 렉스 박사팀이 신발 밑창과 휴대전화에 붙어 있는 미생물을 분석해서 같은 장소에 방문했던 사람들을 가려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열린 세 개의 학회 참가자 91명에게서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시나리오 기획안을 컴퓨터가 대신 써주는 셈이다.류철균 이화여대 디지털스토리텔링 연구소 소장은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작가가 스토리헬퍼를 이용하고 있다”며, “작가는 보통 원고의 10배 정도나 되는 초고를 쓰는데, 이를 이용하면 그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그는 ... ...
- [과학뉴스] ‘딸내미’는 여름에 태어날수록 건강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됐을 때 더 건강하고 키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사과학연구소 존 페리 교수팀은 태어난 계절이 태아의 체중과 초경 연령, 성인이 됐을 때의 신장과 체질량지수(BMI)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영국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바이오뱅크’에 보관된 45만 명의 자료를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담했다. 하지만 지금은 대중의 집단지성을 이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NASA 에임즈연구소에서 만든 스페이스워드 바운드(SpaceWard Bound)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외계지적생명체 탐사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 SETI 연구소, 호주화성협회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이 프로그램은 우주생물학에 관심이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쉽게 변성되는 걸 보면서 DNA에 대한 의심을 지울 수 없었다.몇 년 후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린달은 본격적으로 의문을 풀기 위한 연구에 들어갔다. 우선 DNA가 느리지만 분명히 부식(decay)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유전체 부식속도는 매우 빨라서 그대로라면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것을 통해 자율적으로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이다.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질병생물물리학 그룹의 애나 그로스버그 연구원팀은 2011년 11월 학술지 ‘랩칩’에 ‘하트(심장) 온어 칩(heart on a chip)’ 개념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PDMS로 된 얇은 기판 위에 심장 근육세포를 배양해 근육박막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2016년부터는 핵심 독해와 작문이 하나의 과목으로 통합된다).미국의 앨런 인공지능 연구소와 워싱턴대 연구진이 개발한 지오솔버는 이 과목들 중 수학, 그 중에서도 기하학에 초점이 맞춰진 인공지능이다. 문제의 글은 물론 도형까지 이해해야 하는 기하학 문제는 수능 로봇이 가장 풀기 어려운 ... ...
- 조울증인지 아닌지, 스마트폰은 알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상태를 진단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이탈리아 네트워크 사회를 위한 전기통신실험연구소(CREAT-NET) 베넷 오스마니 박사팀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각종 센서와 스마트폰 사용 기록을 토대로 조울증 환자의 감정 상태를 96%의 정확도로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조울증은 기분이 과하게 좋은 상태(조증)와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