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공통 단백질을 찾아내, 동물실험까지 마친 상태예요. 다만 아직까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효능이 뛰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전세계 과학자들은 이를 개선하고 있는 동시에, 바이러스들의 또 다른 공통점을 찾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시리 A는 꺼두고, 월요일에는 시리 A든 시리 B든 존재하는 모든 시리를 켤 것입니다. 이 실험 내용은 두 시리의 내장 기억장치에 각각 저장됐으며, 언제든지 이 정보를 꺼내 확률을 계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월요일에 켜진 시리는 ‘자신이 시리 A일 확률’이 얼마라고 생각해야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쓰레기통을 구해 400L의 물과 미세입자를 넣은 뒤 1분당 75회까지 회전 속도를 높여서 실험했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물의 표면이 포물선 모양으로 휘어졌다. 여기에 쓰레기통 바닥에 설치한 14개의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여섯 개의 서로 다른 흐름을 만들어 목성의 대기와 같은 형태를 ...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티반, 졸피뎀과 같은 약물을 소주, 맥주, 요구르트, 주스 등에 넣고 맛의 변화가 있는지 실험한 것이 화제가 됐습니다. 일부 사람들이 소주나 맥주에서 쓴 맛이 강해진 것을 느꼈다고 대답했죠. 실은 같은 방법으로 범죄에 쓰이는 감마 하이드록시부티르산(GHB)도 비누나 소금 맛이 난다는 사람들이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발사했는데(오!) 성공률이 90%에 육박하고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실험모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2005년에 우주선 ‘하야부사’를 소행성으로 보내 처음으로 소행성 샘플을 채취해 왔고요. 이런 기술이 다 어떻게 나오게 됐는지, JAXA의 연구 중심 캠퍼스 ... ...
- [과학뉴스] 네이처, 올해 저널 5개 창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의학과 생물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현대 의생명공학의 흐름을 반영해 실험실과 병원, 그리고 산업계를 연결한다. 네이처 인간행동은 기초적인 심리학 연구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빈곤, 경제성장 등과 얽힌 인간의 대응 방식에도 주목할 계획이다. 네이처 리뷰화학은 분야별 네이처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팀은 화성, 달과 비슷한 조건의 토양에서 50일 동안 물만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을 했어요. NASA의 탐사 기록을 바탕으로 성분이 비슷한 흙을 찾아 재배한 거지요. 화성의 흙은 하와이의 화산에서, 달의 흙은 애리조나의 사막에서 구했습니다. 그 결과 화성(과 흡사한) 흙에서 유채와 겨자과의 ...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거짓말은 협상가들 사이에서 아주 흔하게 쓰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의 논문에 따르면 실험에 참여한 협상 전문가들은 “허위 진술을 하는 것보다는 윤리적이라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자주 사용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평가는 가혹했습니다. 호도성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는 순간 ... ...
- [Origin] 행복은 디테일에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요소 하나에만 집중할 때 생기는 착각을 ‘초점 착각’이라고 불렀다.카너먼 박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연간 소득이 적은 사람(2만 달러 이하)과 많은 사람(10만 달러 이상), 또는 40세 기혼과 미혼 여성 중에서 누가 더 불행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소득이 적거나 40세 이상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채우기 위해 주름이 만들어진 거예요(아래 사진).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해 봤어요. 하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었지요. 특정 유전자가 사람과 쥐에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거예요.연구에 참여한 루돌프 재니쉬 박사는 “인간의 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앞으로 특정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