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하지만 이 계획은 다소 연기될 수밖에 없었는데, 유인원 대상 실험에서 희망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유인원의 뇌는 쥐의 뇌보다 수십 배나 더 복잡하고, 인간의 뇌는 그런 유인원의 뇌 보다 더 복잡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도 그리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전자책을 저녁 6~10시까지 읽고 바로 잠자리에 든 뒤 아침 6시에 일어났다. 먼저 5일간 실험을 진행한 뒤, 나머지 5일은 같은 조건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을 바꿔 읽도록 했다.그 결과 잠들기 전 전자책을 읽은 사람들은 잠들기까지 10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했다. 또 수면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몽이 독이 될 수 있다.영국 런던 로슨헬스리서치연구소의 데이비드 베일리 박사팀은 실험을 통해 자몽주스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의 종류가 80가지가 넘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약물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셈이다.연구팀은 고혈압과 심장질환, 고지혈증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구분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2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거칠거나 부드러운 바닥 혹은 튀어나온 돌기 등 촉감이 서로 다른 레일 위를 걷게 하면서 뇌의 신경 활동을 기록했다. 그 결과 CA1 영역의 장소세포 중에서도 위쪽 신경 세포층에 있는 세포만 지형에 따라 ... ...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힉스 입자와 암흑물질 등에 열광하고 있는 사이, 물리학계에서 조용히 일어나고 있는 혁명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양자물질은 2017년 현재 양자물리학의 최전 ...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 ...
- 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원전 5~6세기경 찬란한 철학적 사고를 개발했던 그리스인들은 물질에 대해서도 철학적 이론을 제시했다. 불과 물, 흙, 공기가 서로 조합해서 물질을 만든다는 ...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대기압의 1경분의 1수준밖에 안 되는 초고진공 상태, 모든 것을 얼려버릴 듯한 영하 270℃ 안팎의 극저온. 바로 양자물질이 사는 극한 환경이다. 1차원과 2차원, 3차 ...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와사키 아키코 교수팀은 왜 체온이 낮을 때 면역력이 떨어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해 봤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기도세포를 추운 환경과 따뜻한 환경에서 키운 뒤,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인 리노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봤죠. 그러자 추운 환경에서 자란 기도세포에 리노바이러스가 더 잘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패턴을 추정해 주기 때문이다.실제로 120개의 패턴으로 실험한 결과, 알고리즘이 제시한 패턴을 입력하면 다섯 번 내에 95%의 스마트폰 패턴을 해제할 수 있었다. 특히 패턴이 복잡할수록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한번에 알아맞힌 비율은 패턴이 쉬울수록 낮았고(60%),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