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리스팅은 뫼비우스보다 4년 앞서 ‘면이 하나인 곡면’에 대해
논문
을 써서 발표했지만, 주목받지 못했다. 그 때 인정받았더라면 뫼비우스 띠는 리스팅 띠로 알려졌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둘째 날 알쏭달쏭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얼굴 근육을 관찰했더니 공통적으로 윗입술 근육이 올라가고 코를 찡그린다고 한다. 이
논문
은 2009년 3월 ‘사이언스’에 발표됐다.이런 것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감정이라는 것이 어떻게 표현되는가 생각해보자. 감정이란 뇌의 특정 영역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거나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에 호기심을 갖고 유기화학의 세계에 발을 들였다. 책과
논문
을 어렵게 구해 관련 분야를 독학해온 그에게 지금의 연구 활동은 오랫동안 공들여 이룬 꿈이다. 분자전자재료학 강의가 개설되고 연구실이 자리잡힌 것도 오랜 도전의 결과라 말한다.현재 박 교수는 1년에 최소한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얻은 각막윤부줄기세포를 배양한 뒤 이식해 시력을 회복시켰다. 이 과정을 기술한
논문
은 줄기세포 저널인 ‘스템셀스(Stem Cells)’ 12월호에 실렸다. ‘눈의 창’이라고 할 수 있는 각막은 외부에 노출돼 있어 상처를 입기 쉽다. 또 혈관이 없기 때문에 각막의 둘레에 있는 각막윤부줄기세포에서 계속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
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미녀가 드문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될 수 있을까.미국과 캐나다 공동연구팀이 ‘시각연구’ 11월 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미녀는 이런 요소들을 갖춰야 할 뿐 아니라 이 요소들이 얼굴에 잘 ‘배치’돼 있어야 한다. 즉 눈과 입, 두 눈 사이의 거리가 전체 얼굴 크기에서 일정 비율 범위에 들어야 한다는 것.연구자들은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만큼 동아시아 사람들이 최근에 분화됐다는 의미다.한·중·일은 형제나 마찬가지이번
논문
에 참여한 국립보건원 김형래 원장은 “각 민족의 염색체를 비교한 결과 인류가 중국에서 한반도, 다시 일본으로 이동한 경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현생 인류가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약대에서 암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자신의 박사
논문
으로 전국 최우수
논문
상을 받았다. 변리사를 전국에서 1년에 한 명 뽑을 때 10개월간 공부해 변리사 시험에 합격했는데, 지금도 깨지지 않는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국회의원에 당선된 뒤에도 과학과 관련된 입법 활동은 그의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기억나는 것이 있나요?수학을 공부하느라 다른 공부를 충분히 하지 못했는데, 훗날 연구
논문
을 쓸 때 작문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지요. 수학을 좋아하더라도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공부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다양한 연구의 비결은 무엇인가요?10개 국어에 능통한 동시통역사이신 고모님에 따르면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현상이라 20세기 초부터 과학자들의 호기심을 끌어왔다. 이 현상을 연구한 첫 과학
논문
은 1921년에 나왔다. 초기 연구는 어떻게 이런 얼음이 생기느냐에 대한 것이었다. 지금도 학계에서 타당한 것으로 인정받는 이론이 이때 등장했다. 이론을 만든 연구자 이름을 따서 ‘발리-도시’ 이론이라고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