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밫 받으면 전기가 찌릿찌릿! 태양광연구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주시는 안세진 박사님.❷ 태양전지를 만드는 4가지 재료가 각각 얼마나 섞여 있는지 나노
수준
으로 보여 주는 기계와 컴퓨터 프로그램.❸ ‛ㄷ’자 모양 하나가 태양전지. 작은 판 하나에 12개의 태양 전지가 들어 있다.너무 깜짝깜짝 놀란 나는♪ ‘태양에너지’그럼 이렇게 만든 태양전지는 어떤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0년 뒤 대변혁기 온다”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 어떻게 될까. 사람의
수준
을 넘어설 수는 있지만 똑같은 능력을 가질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접근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양현승 교수는 새와 비행기를 예로 들었다. 하늘을 나는 속도, 수송능력 등 모든 면에서 비행기가 위다. 하지만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철저히 복습한다. 한 단원이 끝날 때마다 쪽지 시험을 보기 때문이다. 이 시험에서 일정
수준
을 넘지 못하면 따로 시간을 내서 재시험을 본다.지금은 풀 붙이는 시간영국은 수업시간에 교과서보다 유인물과 공책을 더 많이 이용한다. 매 수업마다 선생님이 나눠주는 유인물이 많기 때문에 수업시간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 대회에 참가하고 싶다는 내용이었죠. 도비출판사의 이태구 사장님과 경시대회
수준
의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고봉균 선생님은 많은 학생이 국제대회에 참가해 수학적 재능을 발견할 수 있게 도와주고 싶다고 했어요. 대회 참여 의사가 제가 이 대회를 만든 목적과 같아 반가웠고, ... ...
수학문화 확산에 수학체험전이 최고예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교구를 외국에서 들여왔지만 여러 번의 행사를 통해 현재는 교사들이 직접 제작하는
수준
에 이르렀다.하지만 새로운 전시물을 만드는 데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수학체험전을 준비하고 있는 교사 간에도 교류가 없어 새로운 전시물을 소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 ...
10대 기술 못지 않은, 미래기술 5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꾸어 공급해 주는 ‘연료전지’ 형태가 될 확률이 높다.치료용 나노로봇개인의 생활
수준
이 높아지고 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다. 나이가 들어도 건강하고 즐겁게 삶을 즐기려는 사회문화가 정착될 것이다. 이런 요구는 치료용 나노로봇이 필요해지는 이유다. 사람의 몸속을 돌아다니며 아픈 곳을 ... ...
G20 정상회의 개최로 본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몇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뜻이다. 그런데 이렇게 경제가 발전하는 동안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은 어느 정도
수준
이 됐을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G20에 속한 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비교해 봤다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때의 네트 높이는 6피트 6인치(198.12cm)다. 이 높이는 미국 성인 남자의 평균 키를 넘는
수준
이다. 공을 네트 위로 넘기면서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높게 정한 것이다.지금은 경기를 하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높이에 차이가 있다. 초등학생은 남녀 동일하게 2m로 배구가 시작될 때보다 더 높다. 중학생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고분자하이브리드센터 책임연구원2020년 경에는 물질혁명이 일어날 것이다. 물질을 원자
수준
에서 설계, 조작하는 나노기술이 일반화될 것이다. 기계, 의학 분야의 발전만 생각해선 안 된다. 이런 것들을 구성하는 ‘물질’이 변화하는 세상이 온다. 지금과는 전혀 다른 물질 세계에서 상상도 못했던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서울대 박영환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사공학으로 개량한 대장균을 이용해 세계 최고
수준
의 거미 실크 단백질을 생산했다. 아주대 응용학생명공학부의 이평천 교수도 식품, 화장품, 정밀화학 소재로 사용되는 카로티노이드를 만드는 대장균을 대사공학으로 합성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