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2단계 수학·과학능력 필수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지난 입시 때 2단계 전형의 영재성 및 사고력평가에서 중등수학 심화와 중등과학 심화
수준
으로 출제해 전반적으로 쉬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과학은 중등교과를 충실히 공부한 학생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가 나왔다. 수학은 중등 올림피아드 시험의 정수, 대수영역에 해당하는 문제와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함께 준비하는 것이 좋다. 또 이과계열은 수학이 기본이 되므로 수학과목부터 어느 정도
수준
에 올려놓는 대비가 필요하다. “한양대 공대에 가려면 지금 성적으로는 턱없이 부족해.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시작하면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야. 예전에 선생님 제자 중에 한 학생이 있었어. 중학교에서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모서리 네 쪽을 접어 단추를 채우면 뭉툭한 디자인으로 변신한다.모양이 변하는
수준
을 넘어 가구로 역할이 바뀌는 가방도 있다. 미국 디자이너 닉과 보우 트린시아 형제가 만든 오픈에어는 노트북을 넣고 다닐 수 있는 가방이다. 긴 줄이 달려 있어 어깨에 걸거나 X자로 메기 좋다. 이 가방을 펼치면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새를 잡아먹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인간에 비하면 아주 미미한
수준
이다.고양이는 대개 각자의 정해진 영역 안에서 무리지어 산다. 주변 여건과 성격에 따라 무리의 수가 다르다. 대개 2마리가 무리지어 살고 많게는 11마리까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봤다. 특이하게 무리짓는 걸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지상현 한성대 미디어디자인콘텐츠학부 교수는 “기능성과 조형성을 갖춘 국제
수준
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또 서유경, 변지민 씨(서울대 디자인학부)의 ‘오일랜드(석유의 역사)’와 구도형 씨(서울과학기술대 NID 융합기술대학원)의 ‘그린피스’가 일반부 우수상을 받았다. 특히 가로 세로가 1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교수도 “더 히에르 교수의 편지는 노벨상에 뒤따르기 마련인 일부의 이의 제기
수준
”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가 받을 수는 없었나그렇다면 노벨상위원회는 김 교수가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판단해서 수상에서 제외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 국내외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네이처의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최소한의 수학(修學)능력을 점검하기 위해 중학교 3년을 이수한
수준
의 문제를 갖고 수학·과학 종합사고력 평가를 실시했다. 점수가 높다고 합격에 유리한 게 아니다. 최저 학력 평가의 기준으로 적용했으며 나머지는 참고사항으로 삼았다.‘영재성’과 ‘창의성’을 어떻게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지상현 한성대 미디어디자인콘텐츠학부 교수는 “기능성과 조형성을 갖춘 국제
수준
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이번 공모전은 ‘과학을 보여주는 창의적 도전’이라는 주제로 우수한 과학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과학시각 콘텐츠의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27점의 수상작은 1월 13일부터 1 ... ...
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하나둘 쌓아놓았다. 초등학교 2학년 때에는 고등학생도 어려워하는 미분 문제를 푸는
수준
이 됐다. 하지만 수학적 재능을 발휘할 기회가 없었다. 물론 일부러 자랑하지도 않았다.주머니 속의 송곳은 숨길 수 없는 법. H군은 초등학교 4학년 때 처음으로 수학올림피아드에 나갔다. 깊이 있는 문제를 ... ...
Part 4. 진정한 수학스타 탄생을 위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수입원은 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이 아니기 때문이다.오히려 수학영재가 더 높은
수준
의 수학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현상은 우리나라 수학의 발전을 가로막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지난 12월 7일 발표된 ‘2009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에서도 우리나라 수학 과목은 최상위권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