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혼자"(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상관 없이 피곤해지기만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방해 요소가 많은 척박한 환경에서 혼자 처절히 싸워 성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인기를 끄는 것은 일면 다들 어느정도 자신과의 싸움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고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심리학자 바우마이스터는 결과적으로 자기통제를 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있듯 ‘성실한’과 ‘게으른’ 같이 서로 상반되는 특성이 한 사람을 설명하기도 하고, 혼자일 때 VS. 친구와 함께일 때의 모습이 서로 다르듯 사람을 구성하는 특징들은 늘 동일하기보다 상황과 역할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개념은 보통 다면적(multifaced)인 경향을 보인다. 자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과 마찬가지로 사람은 등장하지 않는다. 이처럼 덩치가 크지 않고 민첩한 동물들은 개가 혼자 사냥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개를 쫓아가기에 바쁜 사냥꾼은 개가 목을 물고 있는 사냥감에 다가가 명줄을 끊는 ‘마무리’를 하는 게 고작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10_정말 사자도 사냥했을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주는 일들이다. 글 쓰기도, 마감이 가까워졌을 때는 그렇지 않은 경향을 보이지만, 그저 혼자만의 생각을 적기 위해 쓸 때는 누가 보든 말든 상관없이 유지되는 본질적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2018년에도 이들이 나의 행복과 정신건강을 잘 지켜주길 바라며, 새해에는 좀 더 내가 만족할 수 있는 나를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나랑 친해지고 싶어할 이유가 없으며 나는 그리 사랑받을만한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혼자 체념했던 것이었을뿐 그 친구를 싫어한 것은 아니었다. GIB 제공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동안 누군가 내게 호의를 보여오면 저게 진심일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상당히 ...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2017.11.04
- 예컨대 월급을 도박에 전부 탕진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성생활을 하거나 밤길을 혼자 걸어다니는 등의 행동은 주로 남성들에게 해당되는 위험 추구 행동이라는 것이다. 특히 안전하지 않은 성생활이나 홀로 밤길을 걷는 행동의 경우 그 행동의 ‘결과’나 실제 ‘위험의 정도’가 남녀에 따라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또는 불필요한 사회적 역할과 주변 사람들의 기대와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맥락에서 혼자의 시간을 갖는 것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일이다. 하지만 비사회적인 사람들이 고독을 선호하는 이유는 그냥 사람들과 함께 하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비사회성의 특성을 살펴보니 ...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2017.09.09
- 빠져 정작 눈 앞에 놓여진 시간을 충실히 살아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마음이 혼자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현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눈 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놓치게 만들고, 일어나지 않은 일이나 이미 지나간 일을 걱정하느라 유일하게 내 힘으로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 지금의 일에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개인적으로도 반려동물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지친 심신을 정화하는 효과, 혼자라면 절대 하지 않았던 운동(나가서 걷기)을 하는 효과 등을 톡톡히 본 터라 공감가는 부분이 많았던 연구였다. ※ 참고문헌 Brooks, H., Rushton, K., Walker, S., Lovell, K., & Rogers, A. (2016). Ontological security and connectivity ...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2017.08.13
-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Panfile 등의 연구자들은 3세 아이들을 방 안에 혼자 두고 어디선가 아기가 우는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후 보호자로 보이는 사람이 방에 들어와서 "아이를 달래 줄 XX를 찾고 있다"고했고, 이 때 평소 부정적 정서성이 낮고 감정 조절을 잘 하는 아이들이 그렇지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