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전파
뉴스
"
전파망원경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5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중력파...쉽게 풀어낸 중력파 Q&A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보고 있다.
전파망원경
을 통해서 볼 수 있는 우주는 빅뱅 후 38만 년 이후부터다. 반면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다. 즉, 중력파 관측을 통해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내지 못한 우주 탄생의 과정을 밝혀낼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간접적인 증거도 나왔다. 미국의 천문학자인 조세프 타일러와 러셀 헐스가 거대한
전파망원경
을 이용해 질량이 매우 높은 한 쌍의 별 ‘더블 펄서’를 관측한 것이다. 이들은 두 별이 속도를 높이며 서로의 주변을 돌면서 에너지를 잃고 점점 가까워진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잃은 에너지의 ... ...
세 번째 중력파 발견 의미는?…쌍성 블랙홀 생성이론 밝혀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2015년부터 차례로 검출된 세 번의 중력파로 3차 중력파는 1,2차 중력파가 약 10억광년 떨어진 곳보다 먼 약 30억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중력파는 두개의 쌍성 블랙홀이 충돌해 합쳐처 하나로 될때 발생한다. - LSC 제공 3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온 중력파가 검출됐다. 검증까지 완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미 국립과학재단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앨런
전파망원경
집합체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 천문대에서 정보를 받아 분석한다. 1977년과 2007년 정체를 알 수 없는 신호를 발견했지만, 그 정체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 ...
거대은하단서 ‘해파리 타원은하’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지구로부터 약 11억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거대은하단 ‘아벨 2670(Abell 2670)’. 확대된 사각형 안에 있는 파란색 은하가 이번에 한국천문연구원이 발견한 해파리 타원은하(SDSS J235418.35-102014.8)다. 은하의 중심(붉은 부분)에서 바깥으로 가스의 꼬리가 흩날리는 해파리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 ...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
과학동아
l
2017.05.07
않았다. NASA 제공 논문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인 김효선 연구원은 칠레에 설치된
전파망원경
간섭계를 이용해서 별 주변 물질을 촬영했다. 그 모습을 컴퓨터로 재구성해 3차원 구조를 추정한 결과, 실제로는 4~5겹의 양파 껍질 같은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에 알려진 모습은 ... ...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
과학동아
l
2017.04.15
수 있었다. 이런 실험은 약 세 달간 7번 이상 성공했다.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으로 추가 관측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향후 달탐사를 진행할 때 우주쓰레기 등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알마’가 포착한 500만년 전 아기별 탄생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년 동안 내뿜는 에너지 정도”라고 분석했다. 이 충돌현상은 2009년 하와이에 설치된
전파망원경
SMA(Submillimeter Array)에서 처음 관측됐다. 알마의 성과는 폭발 순간 일산화탄소 가스의 분포와 운동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수행해 폭발의 근본적인 힘을 분석했다는 의미가 있다. ... ...
“블랙홀, 너의 진짜 모습을 보여 줘”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관측망(ALMA)’. 64개의
전파망원경
이 연동돼 있다. 최초로 블랙홀을 관측하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프로젝트에 활용되는 9곳의 천문대 중 하나다. 한국천문연구원은 ALMA와 미국 하와이 섬의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 ... ...
[표지로 읽는 과학] 정체불명의 ‘라디오파열음(FRB)’이 발생한 지점 처음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08
포착됐다. 이 파열음은 회당 0.003초 길이의 신호로, 푸에르트리코에 위치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에서 2012년 5월과 7월, 11월에 걸쳐 관측됐다. 연구진은 이 라디오파열음이 지구로부터 약 30억 광년 떨어진 왜소 은하 ‘마차부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파열음이 관측된 지점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