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있다고 하셨죠? 이 부분은 챗GPT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인터넷 고유의 문제입니다. 또한 학자들과 챗GPT가 주는 정보는 구분해야 한다고 하셨는데요. 챗GPT로부터 정보를 받을 때 ‘학회지에서 대수기하학 연구 결과를 가져다줘’처럼 출처를 요구하며 물어보면 수준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답니다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땅이라면 우리는 마음대로 개발하고 파괴하고 모습을 바꿔도 될까요? 몇몇 천문학자와 철학자, SF작가들은 다른 세계를 테라포밍하려는 시도가 윤리적인지 논쟁합니다. 이 문제를 ‘테라포밍의 윤리’라 부르죠. 테라포밍 옹호자들은 인류와 지구 생물들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고 환경을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同種異名・synonym)으로 밝혀져 학계에서 퇴출됐다. 일본 제국대학 교수 등 저명한 학자들의 연구를 석주명이 뒤집은 것이다. 석주명의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넘어 서구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영국의 왕립아시아협회에서 석주명의 연구를 영문으로 출판할 것을 권유했고, 석주명은 1940년 ‘조선산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전부 멈춰 버린 줄 알았으나 아니었다. 엄청난 중력으로 시간이 느려졌다느니 전 세계 학자들이 매일 떠들어댔지만, 제니에게 중요한 건 어쨌거나 에그에 묶인 사람들이 죽지는 않았다는 것이고, 그저 그들의 시간이 이곳과 비교도 안 되게 느리게 흐른다는 것이며 에그를 파괴한다면 모든 것이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습니다.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사람들은 왜 동물원에 올까요? 미국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인간의 유전자에는 생명에게 이끌리는 본능이 있다는 ‘바이오필리아’라는 가설을 주장했어요. 생명(bio)을 좋아한다(philia)는 뜻이지요. 사람들의 깊은 마음 속에는 동물과 생명에 대한 사랑이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무너짐을 의미했습니다. 이 역설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고틀로프 프레게였습니다. 당시 프레게는 집합론으로 산술의 기초를 정립하는 일생일대의 연구를 마무리하고 있었어요. 이 연구의 결론은 수학과 논리학이 본질적으로 동일함을 시사했기 때문에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관심사가 곧 대중과 사회의 관심사가 되도록 노력하는 커뮤니케이터, 그리고 천문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Q. 은하를 사랑하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난 6개월 동안 ‘최애 은하’ 시리즈를 아껴주신 독자 분들,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이야기를 읽어주실 모든 분들의 심장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하나의 물질이 아닙니다. 티탄산칼슘(CaTiO3) 광물의 결정 구조를 밝힌 러시아 광물학자 레프 페로브스키를 기념하기 위해, 티탄산칼슘과 결정 구조가 동일해서 화학조성식 ABX3으로 표기할 수 있는 물질을 통칭해 페로브스카이트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A는 상대적으로 이온 반경이 큰 유기 혹은 무기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발전뿐 아니라 과학의 발전에도 엄청나게 기여했잖아요. 그 부분도 짚어주세요. 수학자 : 수학의 발전은 과학, 특히 물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데요. 뉴턴의 고전 역학은 유클리드 기하학에 기반해 이뤄져 있어요. 하지만 현대 물리학의 핵심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설명하기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즉 계산식으로 짠 프로그램과 논리로 짠 증명이 일대일 대응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논리학자들이 어떤 증명을 만들고, 검토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프로그래밍과 똑같다는 뜻이다. 처치는 기계에 대한 생각은 하지 않았지만, 람다 계산법은 ‘튜링-완전(turing-complete)’한 언어다. 튜링-완전하다는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