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않는다면 클 키가 다 크지 못한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끝으로 박 교수에게 유전학자의 입장에서 이런 유전자 만능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그의 입장은 동의도 반대도 아니었습니다. 박 교수의 대답을 그대로 실으며 기사를 마칩니다. “생명체의 모든 형질(외모, 성격,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나 귀엽냐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할루키게니아가 구체적으로 어떤 생김새를 지녔을지, 뭘 먹고 살았을지 수십 년간 과학자들의 추리와 논쟁이 이어졌는데요. 현존하는 생물 중 할루키게니아와 가장 비슷한 종은 무엇일까요? 디.에스 영상으로 보기 http://m.site.naver.com/1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19세기 말까지 과학자들은 빛도 매질이 있을 거라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1887년 미국 물리학자 앨버트 마이컬슨과 에드워드 몰리는 실험을 통해 빛의 매질로 가정했던 물질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끊임없이 서로를 이끌어내기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불가능한 문제가 대수학으로 넘어왔을 때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이 있었어요.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1855)가 19살 때 정십칠각형의 작도법을 알아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는데요. 그는 정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한 도형이라는 것을 기하학적 방법이 아니라 대수적인 방법을 통해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410km와 660km 부근에서는 지진파의 전달 속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불연속면이 있는데, 지질학자들은 410km와 660km 불연속면 사이를 ‘전이대’라 부른다. 임 연구원은 “전이대를 이루는 두 불연속면 이외에 다른 깊이에도 불연속면이 존재한다는 연구가 계속 나오고 있다”며, “최근 연구 결과들은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갖춰야 한다고 세종이 최초의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등극 초기부터 학자들에게 역법 공부를 명령한 것에서 그 단초를 볼 수 있다. 세종은 국가적 과학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심으로 후원하고 조력하는 역할도 했다. 일례로 역법 공부가 한창이던 세종 13년(1431)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네가? 왜?” 되묻는 사람이 많았다. 그도 그럴 게, 천문학자와 지질학자, 기상학자, 생물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는 화성 탐사대원 중에서 지금까지 농업 전문가는 없었다. 그동안 화성에 농업 전문가가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사건’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정조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마치 열차처럼 이어져 있었다. 우연히 이 같이 배열됐을 확률은 0.6%에 불과하다. 천문학자들은 열차의 양 끝인 꼬리칸과 머리칸의 두 왜소은하 RCP3와 DF5에 주목하고 있다. 두 왜소은하가 80억 년 전에 가장 먼저 충돌한 두 개의 모(母)은하 A, B에서 각각 떨어져 나온 조각일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정예 부대 4인방을 소개할게! 면역세포, 어떻게 밝혀졌을까? 1884년 러시아의 동물학자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불가사리를 장미 가시로 찔러봤습니다. 어떤 면역 반응이 나타나는지 보기 위해서였어요. 그 결과 어떤 세포들이 장미 가시 주변을 둘러싸고, 일부는 가시를 소화하려고 애쓰기까지 하는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검색 포털에서 알기 어려운 기하학의 역사를 챗GPT가 바로 알려줘서 편했다”면서도, “수학자의 국적이나 연도가 잘못된 정보도 섞여 있어서 검증을 꼼꼼히 했다”고 말했다. 수학 수행평가의 단골 주제는 수학을 배우는 이유 찾기다. 이때도 챗GPT가 해결사다. 수학이 쓰이는 다양한 사례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