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양의 과학도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앞가림을 못할 때 훈계해 주기도 하는데, 배우는 점도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책임감을 갖고 대학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Q.북한이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애쓰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과학기술자에 대한 대우는 어떤가요? 장. 말로는 과학기술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고 광고하지만 실상은 ...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by Junga Hwang’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태양우주환경그룹 책임연구원은 2003년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1호에 자신의 이름을 새겼다. 탑재체 설계와 제작, 발사부터 데이터 수신까지 황 연구원이 주도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이다. “제 이름이 새겨진 위성이 지금도 머리 위를 90분에 한 번씩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또다른 특징은 정육각형 모양의 거울 18개를 벌집처럼 이어 붙인 거예요. 정웅섭 책임연구원은 “우주망원경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선 거울을 가능한 크게 만드는 게 유리하지만, 우주로 보내거나 우주 환경에 견디기에는 불리해 지상망원경처럼 크게 만들 수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각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급 안보 기밀로 지정돼 있던 걸 함부로 풀었다가 뭐 일이 잘못되면 새로 오신 높은 분들 책임이 되니까 그런 일을 할 이유는 없는 거고. 대신에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은 따로 있으니까, 그쪽으로 예산하고 인력은 재배치해야 되는 거지.”김 박사는 재배치라는 말을 듣고, 새로 해야 될 연구에 대한 ... ...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수학 대중화를 위해 앞장서는 일은 제게 있어 수학 연구만큼이나 큰 즐거움이며 동시에 책임감을 느끼는 일입니다. 저도 언젠가 드 사토이 교수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거든요. 물론 제가 조금 더 나이가 들고 같은 길을 걸어가보니 그게 얼마나 힘들고 대단한 일인지 느끼고 있지만요. 지난 2년 동안 ... ...
- [기획] 키메라 연구, 장기이식의 희망이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많답니다. 키메라 연구로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한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책임연구원은 “다른 종의 장기를 이식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기술적 문제는 이식된 장기를 이물질로 인식해서 공격하는 면역거부반응”이라며 “근본적으로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방법이 활발하게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실정이지만,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국내 배양육 스타트업 씨위드의 이희재 최고기술책임자(CTO)는 “FBS 사용량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고 해양미세조류로 대체했다”며 “FBS를 대체하는 일은 배양육이 경제성을 갖추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설사 FBS를 사용하더라도 배양육이 현재의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동물 세포에서 추출하느냐에 따라 최종 결과물이 달라지죠.”이희재 씨위드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배양육 제조 시설 한 켠의 인큐베이터를 가리키며 말했다. 인큐베이터에는 빨간 배지가 담긴 페트리 접시가 있었다. 이 CTO가 꺼낸 페트리 접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자 맨눈으로는 자세한 모습을 볼 ... ...
- [NST, 모두의 연구]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4000억 원가량이 든 것을 생각하면 큰 차이다.처음 김윤종 선임연구원, 선광일, 한정열 책임연구원과 함께 4명으로 시작한 K-DRIFT 프로젝트는 15명으로 규모가 커졌고, 9년간 연구소의 추가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K-DRIFT의 설계를 개선하고, 극미광 관측에 더 나은 방향으로 최적화 작업을 하고 ... ...
- [기획] 논란의 중심에 서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키메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이야. 머리는 사자, 몸통은 염소, 꼬리는 뱀으로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섞인 동물이지. 하지만 키메라는 신화적 존재만은 아니야. 특히 최근에는 사람과 원숭이의 키메라가 등장하면서 과학자들 사이에 심각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지. 키메라가 대체 왜 논란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