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이라는 ‘날개’를 달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용석 경희대 교수(이과대학 부학장)는 이렇게 말했다. 정교수와 성 교수는 과학동아가 9월 13일 개최한 과학토크콘서트 ‘과학동아카페’에 토론자로 참석 중이었다.9월 13일 열린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국제퍼즐디자인대회의 수상 기준이기도 하다."퍼즐을 푸는 동안은 마냥 즐거워요."현재
연세대
학교에서 수학과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안진후 학생은 2012년 국제퍼즐디자인대회(IPDC)에 처음 참가해 최고상인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이 대회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기계적 퍼즐의 대가로 불리는 ... ...
9월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제13회 ‘과학동아 카페’ 주제는 가장 핫 이슈인 에볼라 바이러스입니다. 서아프리카를 강타한 에볼라 사태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요.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와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함께 합니다.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들판에는 북 모양으로 된 지름 30cm 가량의 투명한 통(챔버)이 20여 개 놓여 있었다. 채남이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박사는 “짧은 여름에 식물이 얼마나 광합성을 하고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내뿜는지 조사하는 장치”라고 말했다. 식물이 광합성을 많이 하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조금이나마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NASA),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영국 옥스퍼드대 등 천문학에서는 최고의 직장을 다니다
연세대
교수로 부임했다.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한창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지금부터 3년 반 전 위암 판정을 받았다. 아픈 아내의 고통을 덜어주려 같이 내시경검사를 받다가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5월 17일 ‘제9회 과학동아카페’에 참가한 변용익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운석을 연구하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과학동아가 5월호 기사로 다룬 ‘진주 운석’을 주제로 변 교수와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이 과학동아 독자 100여 명과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메타물질의 각 부분부분에서 원하는 대로 꺾여 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였다. 김경식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가 바로 이런 한계를 최근 극복한 것이다. 세계 최초의 투명망토 개발자인 스미스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했다는 사실도 화제가 됐다. “투명망토에 이런 한계가 있다는 걸 안 순간, 이거다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장반경이 1AU보다 작고, 원일점 (태양에서 가장 먼 위치)이 0.983AU보다 크다.천문연과
연세대
가 진행하는 분석작업이 조만간 완료되면 태양계에서 진주 유성체가 지구에 충돌하기 전 가장 최근에 지나왔던 경로가 밝혀질 것이다. 그 다음 단계는 진주 유성체의 과거를 더듬어가는 일이다. 과거 수천 년 ... ...
칼 세이건 능가할 과학커뮤니케이터 뽑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입고 있던 옷을 구겼다 펴 보이며 초기 우주의 인플레이션과 중력파를 설명한 지웅배(23,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학생) 씨가 차지했다. 지 씨는 “칼 세이건처럼 모든 사람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과학커뮤니케이터가 꿈”이라며 “페임랩을 통해 과학대중화가 과학연구만큼 중요하다는 사실을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점,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검사가 많은 점 등도 원인 후보로 들 수 있다. 박정수
연세대
교수는 “초음파검사를 문제 삼기보다는 왜 우리나라에서 유독 갑상샘암이 많이 생기는지 연구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Q.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갑상샘암 증가하지 않을까?→명확한 증거는 없어크게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